

이젠 게임 관련 상품을 살 때도 마구잡이로 지갑을 열게 아니라 여기저기 비교하며 조금이라도 싼 곳을 찾아 다니게 생겼습니다. 물가 대란이 게임에도 몰려오고 있거든요.
하나하나 따져보면 정신이 아득해집니다. 대형 타이틀의 가격은 8만 원을 호가하며, 환율까지 오르면서 9만 원 후반대를 바라보고 있습니다. 하드웨어도 마찬가지입니다. PS5는 6만 원 올랐고, 지포스 RTX 40 시리즈는 100만 원 이하 제품이 없어지고, 전반적으로 20만 원에서 90만 원까지 큰 폭으로 올랐습니다. 모바일게임도 가격 상승을 피할 수 없었는데요, 애플이 지난 5일, 인앱결제 가격을 일제히 인상하면서, 주요 모바일게임 다수가 유료 아이템 가격을 올린 것이죠. 이 밖에도 월 정액료나 배틀패스 비용도 모두 인상됐습니다.
사실 게임 가격 상승은 물가 상승률에 비해서는 더딘 편이었습니다. 실제로 대작 가격이 6~7만 원대에서 오랫동안 머물 때, 가격이 올라야 되는 거 아니냐는 의견이 나왔을 정도였죠. 실제로 이번 게임 가격 상승에 대해 "한동안 안 올라서 그렇지 오를 때 됐다", "잘 따져보면 물가 상승률만큼 올랐다" 등의 의견이 있죠. 게임메카 ID 동네백수 님은 "어차피 쌓아둔 게임 못해도 2년은 거뜬히 즐길 수 있다"며 가격 상승을 덤덤히 받아들이기도 했습니다.
그래도 이렇게 단기간에 여러 분야에서 동시에 금액이 올라버리니 대다수의 게이머가 당혹감을 숨기지 못하고 있습니다. "심리적인 마지노선이라는 게 있기 마련인데, 갑자기 그걸 훅 넘어버리니까 황당하다", "게임이 10만 원이 되면, 한 1년은 거뜬히 즐길 수 있어야 하지 않나?", "가격이 오른다고 게임이 달라지는 건 아니잖아" 등의 의견만 봐도 이를 알 수 있습니다. 애플의 인앱결제 인상에 대해선 게임메카 ID TBZ 님은 "1,400원 도 안 되는 환율이 1,500원이 되는 마법"이라며 환율보다 높은 인상안을 지적했습니다.
물가 상승 원인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부터 식량위기, 코로나, 지구 온난화 등 특정하기 힘들 정도로 매우 다양합니다. 해결은커녕 더 오르지 않기를 기대해야 할 정도로 국제 정세가 좋지 않습니다. 지금으로서는 게임 가격이 더 오르지 않기를 바라는 것이 최선 아닐까요?
[이구동성]에 인용된 유저댓글 중 매주 한 분(게임메카 계정)씩을 추첨해 제우미디어의 게임소설(리퍼 서적)을 보내드립니다. 선정된 유저분은 회원정보에 기재된 e메일로 발송되는 당첨 안내 메일로 주소 및 연락처를 알려주시길 바랍니다.
이번 주 우수 댓글: 동네백수 님 (증정서적: 볼진: 호드의 그림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게임메카에서 모바일게임과 e스포츠 분야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밤새도록 게임만 하는 동생에게 잔소리하던 제가 정신 차려보니 게임기자가 돼 있습니다. 한없이 유쾌한 기자가 되고 싶습니다. 담백하고 깊이 있는 기사를 남기고 싶습니다.bigpie1919@gamemeca.com
에 달린 기사 '댓글 개' 입니다.
- [롤짤] 55분 경기에 60킬, 간만에 터진 T1-KT '롤 클라시코'
- ‘고블린 슬레이어’ 첫 콘솔·PC 게임, 장르는 택티컬 RPG
- 왕눈이 왔다! 젤다: 티어스 오브 더 킹덤 한정판 예약 시작
- 틈새의 땅에 빛이 비춘다, 엘든 링 레이 트레이싱 적용
- 너무 약하다? 디아블로 4 드루이드 캐릭터 성능 논란
- [AI야 소녀를 그려줘] 우마무스메, 반인반마가 되어버린 소녀
- 프로젝트 유출 소송 중인 다크 앤 다커, 스팀서 삭제됐다
- 심각한 최적화로 혹평 받은 라오어 파트 1, 너티독 입장 발표
- 시프트업 김형태 대표 “AI 사용할 때마다 참 복잡한 심정”
- [오늘의 스팀] 또 최적화 저주, 라오어 파트 1 '대체로 부정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