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라
> 메카 리포트]
`파멸의
마수` 업데이트 이후 처음으로 만나는 인스턴스 던전인 살레론의
공중 정원은 기존에 있던 던전과는 다르게 보스 몬스터보다 진행이
어렵다. 처음 선보이는 부름의 마석은 소환되는 몬스터의 패턴을
모른다면 만레벨의 유저들이 와도 쩔쩔 맬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미션 퀘스트를 완료할 시 얻을 수 있는 전설 무기와 드랍되는
전설 아이템. 그리고 시련의 구슬로 교환할 수 있는 오샤르 골든라벨
시리즈는 한번쯤은 꼭 클리어하는 것을 추천하게 만드는 던전이다.
살레론의
공중 정원에 입장하기 위한 조건은 두가지가 존재한다. 먼저 최소한
레벨이 53이상이 되어야하며 54레벨 미션 퀘스트인 `유폐된 거신`이
진행중이어야한다. `유페된 거신` 미션 진행 도중에 살레론의 공중
정원에 입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단숨에 `살레론의 공중
정원`까지! 미션 퀘스트 공략 보러가기> 살레론의
공중 정원으로 입장하기 위한 장소는 뉴 엘레논에서 이동할 수 있는
배반의 암굴 2층에 존재한다. 배반의 암굴 1층 캠프에서 살레론의
조사 캠프로 이동한 뒤 아래의 경로를 따라 가면 살레론을 통해
던전에 입장할 수 있다.
 ▲
괜히 1층에서 뛰어 내려오지 말고 던전 이동 관리인을 이용하자.
 ▲
자신의 자식들에 의해 유폐되어 있는 살레론이 입장시켜준다.
지금까지
확인된 바로는 살레론의 공중 정원 퀘스트는 미션 퀘스트 하나와
반복 퀘스트 하나로 이루어져있다. 퀘스트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1] 미션 퀘스트 |
퀘스트명 |
수령 위치 |
NPC |
[54] 유폐된 거신 |
카이아도르 사령부 |
전신 카이아 |
[2] 일반 퀘스트 |
퀘스트명 |
수령 위치 |
NPC |
[54] 살레론의 초대(반복/20) |
살레론의 조사 캠프 |
가가슈 |
`살레론의
공중 정원`은 공중에 떠있는 구조물과 그 구조물들을 이어주는 다리로
구성된 인스턴스 던전이다. 지금까지의 던전과 달리 일직선 구조로
되어 있어 길을 찾는데 불편함은 없으나 중간 중간 설치된 `부름의
마석`은 공략 방법을 모른다면 만 레벨이 와도 클리어하기 어려울
정도의 난이도를 보여준다.
몬스터의
레벨은 보스 몬스터나 일반 몬스터 전부 54렙으로 동일하다. 보스는
총 10마리 중 4마리가 나오며 보스 출몰 위치와 목록은 다음과 같다
 ▲
`살레론의 공중 정원` 내부 구조
몬스터를
소환하는 `부름의 마석`외에도 싸움을 편하게 해주는 마석들이 존재한다.
그 마석들의 목록은 아래와 같다.
외형 |
이름 및 특징 |

|
바람의 마석
자신의 주변에 이동속도 버프를 걸어주는 마석. 주로 방이
끝나는 지점에 설치되어 있다. |

|
근성의 마석
이 마석을 파괴하면 주변의
대상들에게 최대 체력 증가 버프가 걸린다. |

|
의지의 마석
이 마석을 파괴하면 주변의
대상들에게 최대 마나 증가 버프를 건네준다.
|

|
투지의 마석
이 마석을 파괴하면 주변의
대상들에게 스킬 위력 증가 버프가 걸린다.
|
던전
진행은 `부름의 마석`을 이용해 일반 몬스터들을 소환하고 그 소환된
몬스터를 처리하는 방식과 그냥 방에 존재하는 몬스터를 처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각 방에 위치하는 몬스터의 공략 패턴은 다음과
같다.
외형 |
이름 및 특징 |

|
1. 떠돌이 싸리싸리 족장 (부름의
마석)
제일 처음에 만나는 부름의 마석에서 나오는 몬스터. 황소
모양의 소형 몬스터와 함께 나온다. 별다른 특징은
없는 일반 몬스터다. 다만 방 주위를 둘러싸며
바닥에서 나온 `길 잃은 두더지`의 주변에 가면
대미지와 함께 높은 확률로 다운되니 방 가운데서 싸우도록
한다. 주변에 계속해서 소형 몬스터를 소환하지만 떠돌이 싸리싸리 족장 한마리만 잡게 되면 모두 사라지므로 일점사로 빠르게 처리하도록
하자. |

|
2. 프리온 전사, 프리온 광인
방에 들어서면 프리온 전사와 광인이 한마리씩 무리를 이뤄
총 4마리가 방을 시계방향으로 돌아가고 있다. 일반형
정예 몬스터이며 별다른 특징은 없다. 특별히 잡지
않아도 문제는 없으므로 지나쳐도 되는 몬스터이다.
만약 애드가 되더라도 다음 방까지 달린다면 애드가
풀리므로 문제없이 달려가도록 한다. |

|
3. 메코나리 야만전사, 메코나리
주술사, 시칸다리 전사, 시칸다리 신관 (부름의
마석)
`부름의 마석`을 부수고 나면 좌측에는 시칸다리 전사 3마리와 시칸다리 신관 1마리. 그리고 우측에는 메코나리 야만전사 3마리와 메코나리 주술사 1마리가 등장한다. 정예형 일반 몬스터이며 신관과 주술사의
경우 꾸준히 힐을 시전하므로 축복 해제와 동시에 최대한
일점사를 해서 빨리 잡는 것을 추천한다.
일정 시간이 지나게 되면 방 주변에 붉은 마석이 3개 소환되며 이 마석들은 몬스터의 힘을 35% 증가시켜주는
버프를 걸어준다. 마석을 부순다 하더라도 최소 60초
이상 버프가 지속되므로 최대한 빠르게 몬스터들을
처치하는 방법을 추천한다.
|

|
4. 나이트 플라즈마 가디언, 청동
가디언 (부름의 마석)
`부름의 마석`을 부수고 나면 중앙에 붉은 색의 나이트 플라즈마 가디언 1마리와 청동 가디언 2마리가 생겨난다. 그리고 동시에 시련의 마법석이 3개가 방 주위에 나타난다. 이 시련의 마법석은 주기적으로 청동 가디언을 소환하며 체력도 많기 때문에 부수는 방법도 좋지 않다.
대신 방안에 나이트 플라즈마 가디언이 존재하지 않게 되면 모든 몬스터가 사라지므로 일점사해서
빠른 속도로 처치해 소환되는 것을 막도록 한다.
|

|
5. 심연의 둥지, 둥지 수호자. 심연의
소환술사 (부름의 마석)
`부름의 마석`을 부수고 나면 심연의 둥지 하나와 심연의
소환술사 1마리. 둥지 수호자 1마리가 소환된다. 둥지
수호자를 일점사해서 죽이면 둥지와 소환술사 모두
사라지므로 빠르게 잡도록 하자. 만약 둥지 수호자를
빠르게 잡지 못한다면 주기적으로 몬스터가 소환되서
처리가 불가능해지므로 조심하도록 하자.
|

|
6. 광전사 퍼거스, 광전사 첼로트
방에 들어서면 광전사 퍼거스는 소형 몬스터들과 함께 시계방향으로
순찰을 돌고 있다. 시계 방향으로 돌고 있기 때문에
몬스터에게 애드를 내지 않고 지나갈 수 있으며 애드가
난다 하더라도 다음방에 가면 애드가 풀리기때문에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다만 광전사 퍼거스와 싸워 죽이게 되면 바로 광전사 첼로트가
소환이 되어 전투가 이어지므로 조심하도록 하자. 퍼거스와
첼로트 둘다 광전사형 일반 정예 몬스터이므로 상대하기에는
어려움이 없다.
|

|
7. 고대 무사의 석상, 고대의 상급
무사 (부름의 마석)
부름의 마석을 부수고 나면 고대 무사의 석상과 고대의 상급
무사가 소환된다. 그리고 방 주변에 저주의 석상이
소환되어 다운시키는 공격을 하기 시작한다. 시간을
계속 끌게되면 고대의 중급 무사들이 소환되므로 최대한
빨리 고대 무사의 석상을 일점사해서 처리하면 상급
무사와 저주의 석상은 체력에 상관없이 사라진다.
|
첫 번째
보스 몬스터는 `역병의 날개 카라스챠`, `배덕의 가디언 테르카시아`,
`공작 볼페론&공작부인 티라니아` 3마리중 1마리가 랜덤하게
나온다. 우선 처음 만나는 `역병의 날개 카라스챠`는 기존 아카샤의
은신처에서의 패턴과 동일하다.
 ▲
벌써 3번째 보스로 나와 계속 죽는 카라스챠.
역병의 날개 카라스챠 |
패턴 |
패턴 설명 |
오른손 공격 |
전방을 향해 오른손을 휘둘러 공격한다. |
휘두르기 |
어그로 대상이 변경될 때 사용. 변경된 대상을 향해 팔을 휘둘러 측후방을
공격한다. |
3단 베기 |
양손을 뒤로 젖혔다가 전방으로 전진하며 `오른손-왼손-양손` 순서로
공격한다. |
내려찍기 |
어그로 대상이 변경될 때 사용. 대상을 향해 돌며 오른손으로 측후방을 공격한다. (약 120
이상) 맞게 되면 과다 출혈(이동속도 50% 감소, HP 회복량 50% 감소, 3초 마다 HP
6% 감소) 디버프에 걸리게 된다. |
파괴의 주문 |
체력 70% 이하일 때 시작, 3단계에 걸쳐 주문을 완성하며 완성 시 모든 파티원이 10초 후
즉사. |
화염구 (랜덤) |
랜덤한 대상을 향해 빠른 속도의 화염구를 발사한다. 맞게
되면 과다 출혈(이동속도 50% 감소, HP 회복량 50%
감소, 3초 마다 HP 6% 감소) 디버프에 걸리게 된다. |
`배덕의
가디언 테르카시아`는 사교도의 은신처에서 보았던 마지막 보스와
동일한 모습과 패턴을 가진다.
 ▲
사교도의 은신처 보스 몬스터였던 배덕의 가디언 테르카시아.
배덕의 가디언 테르카시아 |
패턴 |
패턴 설명 |
전방
공격 |
눈이 반짝이며 촉수를 전방에
찔러 총 3회
타격한다.
|
휘둘러치기 |
촉수를
휘둘러 주위 360도를 전부 공격한다.
|
돌진 |
가운데 몸통 부분을 앞으로 뉘여 전방으로 돌진한다.
경로에 있는 대상에게 전부 연타성 피해를 입히므로
조심하도록 한다.
|
광역 공격 1 |
몸통을 한바퀴 회전한 뒤 테르카시아를
기준으로 주변에 강력한 공격을 시도한다.
|
광역 공격 2 |
촉수를
휘둘러 여러번 360도 공격한다.
|
`공작
볼페론`과 `공작부인 티라니아`도 위와 마찬가지로 밤피르 저택에서
보았던 것과 동일한 패턴을 가진다. 다만 공작 볼페론의 체력이
일정 이하 떨어지면 공작 부인 티라니아가 소환되므로 조심하도록
한다.
 ▲
오랜만에 부부가 다정하게 출연했다.
공작 볼페론 |
패턴 |
패턴 설명 |
2연타
공격 |
지팡이를 휘둘러 전방으로 2연타
공격한다. |
3연타 공격 |
지팡이를 휘둘러 전방으로 3연타
공격으로 대미지를 준다. |
돌려차기 |
지팡이를
땅에 찍어 중심으로 360도 돌면서 피해를 입힌다. 막지
않은 상태로 피해를 입게되면 저주가 걸리게 되며 약
5초 후 90%가까운 피해를 입는다. |
공작부인 티라니아 |
패턴 |
패턴 설명 |
모래
뿌리기 |
모래를
집어 전방을 향해 던진다. |
중독 |
공격과
함께 중독시켜 주기적으로 대미지를 준다. |
몬스터 소환 |
돌아다니면서
소형 몬스터를 소환한다. 몬스터를 소환하고서는 잠시
멈춰있으므로 소형 몬스터 우선으로 공격하도록 하자. |
두 번째
보스 몬스터인 `디에르고`는
살레론의 공중 정원에서 유일하게 고정된 보스 몬스터이다. 전형적인
패턴은 얼음 거인, 황금의 미궁의 폭군 바라코스와 유사한 형태를
보이며 추가된 패턴이 몇가지 있는 정도다. 단, 아이템을 먹겠다면
중간에 바실리시크를 전부 소환하고 잡는 것을 추천한다. 전체적인 패턴은 다음과
같다.
 ▲
디에루그의 모습은 이제 정겹기보다 지겨운 얼굴이다.
 ▲
소환된 바실리스크 누르와 게리. 디에루그와 같이 싸운다
패턴 |
패턴 설명 |
전방
공격 |
전방을 향해 3회 도끼를 휘둘러 공격한다. |
휘둘러치기 |
주변을 대상으로
휘둘러 360도 전방위 피해를 입힌다.
|
발사 공격 |
원거리
전방 반경 10미터 범위에
강력한 광역 피해를 입힌다. 맞게 되면 혹한의 냉기(3초마다
3.6%의 HP 감소 및 이동속도 38% 감소) 디버프에 걸리게
된다. |
걷기 |
무작위 방향으로 걸어간다.
이동 경로 주변의 모든 대상에게 연타성 피해를 입힌다. |
돌진 |
전방을 향해 빠르게 돌진한다.
이동 경로 주변의 모든 대상에게 연타성 피해를 입힌다.
|
바실리스크 소환 |
체력
30% 이하가 되면 바실리스크 게리와 바실리스크 누르를 소환한다. |
마음껏 뛰어놀아라 |
"마음껏
뛰어놀아라!"라고 외치고 자신은 방 구석으로
달려간다. 그 후 소환된
바실리스크가 이리 저리 움직이도록 만든다. |
다 녹여버려라
|
"다
녹여버려라!"라고 외치고는 소환된
바실리스크와 마주보고 바실리스크가 브레스를 뿜으면
자신은 뛰어올라 전방 짧은 거리를 내려 찍는다.
|
세
번째
보스 몬스터는 `아이리크`, `크로센디 장군`, `베르 다 브에노스`
3마리중 1마리가 랜덤하게 나온다. 각 몬스터들도 기존의 몬스터와
별 다른 패턴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쉽게 공략이 가능하다.
`아이리크`는
기존의 다크리퍼 형태의 몬스터와 동일한 패턴을 가진다.
 ▲
사교도의 은신처 입장 퀘스트의 몬스터들과 동일한 패턴을
가지는 아이리크.
아이리크 |
패턴 |
패턴 설명 |
화염구
발사 |
자신의 전방 부채꼴 모양의 지역에 입으로 1개
또는 3개의 암흑구를 발사한다. |
3연타 공격 |
자신의
주먹을 높이 들었다가 전방을 크게 3번 내리친다. |
휘둘러치기 |
몸을 180도 회전하며 자신의 측후방을
공격한다. 어그로 대상이 변경되었을시 주로 사용하는
패턴이다.
|
돌진 |
몸을 움츠린
뒤 전방으로 크게 점프한다. 그리고 그 자리에서 바로
뒤로 돌아 본래의 자리를 다시 덮친다. |
포효 공격 |
베르크라마가 포효하며
눈을 붉게 번쩍인다. 그 뒤 전방 부채꼴 범위로 일정
피해를 입으므로 조심하도록 한다. |
`크로센디
장군`은 살레론의 공중 정원의 보너스 보스라고 생각하면 된다.
망자의 토굴에서 볼 수 있던 스켈레톤 장교와 동일한 모습, 패턴을
가지고 있으며 패턴이나 공격력 또한 상대하기 쉬운편이라 쉽게 클리어
할 수 있다.
 ▲
쉬어가는 타임이라고 생각해도 된다.
크로센디 장군 |
패턴 |
패턴 설명 |
전방
공격 |
전방을 향해 무기를 휘둘러 공격한다. |
휘둘러치기 |
휘둘러치면서 360도 전방위 피해를 입힌다.
|
분노 폭발 |
스스로
힘 35% 향상 시키는 버프를 걸며 덩치도 조금씩 커진다. |
`베르
다 브에노스`는 `아이리크`와 동일한 패턴을 보인다.
 ▲
베르 다 브에노스의 모습. 3번째 보스 몬스터 중 가장 까다롭다.
베르 다 브에노스 |
패턴 |
패턴 설명 |
화염구
발사 |
자신의 전방 부채꼴 모양의 지역에 입으로 1개
또는 3개의 암흑구를 발사한다. |
3연타 공격 |
자신의
주먹을 높이 들었다가 전방을 크게 3번 내리친다. |
휘둘러치기 |
몸을 180도 회전하며 자신의 측후방을
공격한다. 어그로 대상이 변경되었을시 주로 사용하는
패턴이다.
|
돌진 |
몸을 움츠린
뒤 전방으로 크게 점프한다. 그리고 그 자리에서 바로
뒤로 돌아 본래의 자리를 다시 덮친다. |
포효 공격 |
베르크라마가 포효하며
눈을 붉게 번쩍인다. 그 뒤 전방 부채꼴 범위로 일정
피해를 입으므로 조심하도록 한다. |
최종
보스 몬스터는 학살의 사브라니악으로 유저들에게 친숙한 드래곤형
몬스터이다.
각각 `포리베노아`, `아드리노아`, `메카트리노아`의 이름을 가지며 색깔만
다른 정도의 구분을 가진다. 기본적인 패턴도 똑같은 편이라 어렵지
않게 클리어할 수 있다. 전체적인 패턴은 다음과 같다.
 ▲
색깔만 다를 뿐 패턴은 비슷비슷하다.
 ▲
보스 몬스터가 거는 디버프, 오염된 피
 ▲
저주의 석상 주변에 가면 높은 확률로 다운되므로 최대한 방 가운데서
싸우도록 한다.
패턴 |
패턴 설명 |
들이받기 |
고개를 약간 숙였다가 머리에 있는 뿔로 그대로 들이 받는 패턴. 일반 공격
패턴이다. |
걷기 |
그냥 전방을 향해 걷는 패턴. 중형 몬스터가 다들 그렇듯이 특별한 준비자세가 없는데다 속도가 빠른
편이라 경로에 있는 유저들은 조심하도록 한다. |
휘둘러치기 |
오른쪽 날개를 활짝 펴서 높이 든 뒤 그대로 몸을 왼쪽으로 돌리며 전방과 좌측을 공격한다. 사용하기
전에 머리 위에 아이콘이 뜨므로 미리 파악하고 자리를 피하도록 한다. |
돌진 공격 |
날개를 앞발 삼아 정면을 향해서 뛰어드는 패턴. 바실리스크가 주로 보여주는 패턴과 흡사하며 자주
사용하므로 원거리 딜러나 힐러들은 조심하도록 한다. |
이동 공격 |
온 몸을 비틀며 땅 속으로 들어간 뒤 잠시 후에 튀어나오며 공격하는 패턴이다. 들어갈 때,
공격할 때 판정이 한 번씩 있고
지하에서 이동할 때 연기가 작게 일어나므로 일단 땅 속으로 들어가게 되면 바닥을 유의해서 살펴보도록
한다. |
불덩이 쏘기 |
전방을 향해 불을 내뿜는다. 마치 화살처럼 날라가서 전방의 유저에게 명중하는 패턴이나 피하거나 막기는
정말 쉽다. 다만 생각보다 멀리 날아가니 방심하지 않도록 한다. |
점프 공격 |
온 몸을 비틀며 공중으로 뛰어오른 뒤 그대로 내려오며 몸으로 찍는 패턴. 다른 중형 몬스터가 사용하는
점프 공격 패턴과 흡사하다. |
하강 공격 |
공중으로 날아 오른 뒤 정면 약 45˚에 위치한 대상에게 그대로 내려 찍은 뒤 몸을 틀어 후방을 향해
착지하는 패턴이다. 내려 찍을 때와 착지할 때 둘다 공격 판정이 있으므로 섣불리 다가서지 않도록
한다. |
3단 브레스 |
날개를 퍼덕이며 공중에 떠오른 상태에서 전방을 향해 불덩이를 세번 발사한다. 골렘과는 다르게 오로지
일직선 전방만을 향해 발사하므로 옆으로 피하면 쉽게 피할 수 있다. 다만 범위가 표시되지 않으므로 여유를 두고 피하면
된다. |
저주 석상 소환
|
체력이 70%, 30% 이하가 되면 방 주변에 레이저 공격을
하는 저주 석상을 각각 5개씩 소환한다. 이 석상이
쏘아내는 레이저에 맞게 되면 다운과 함께 연타성 대미지를
입기 때문에 조심하도록 하자.
|
오염된 피
|
종종 보스 몬스터의 공격을 받게 되면 `오염된 피`(1초마다
전체 HP의 2%씩 감소)디버프에 걸리게 된다. 또한 주변에
계속해서 전염시키기 때문에 근접 딜러가 걸렸다면
전투에서 잠시 빠져나와 디버프가 풀리면 들어가도록
한다. 만약 탱커가 걸렸다면 근접 딜러들은 딜을 잠시
멈추고 디버프가 해제될 때를 기다리도록 한다.
|
 ▲
살레론의 공중 정원에서 드롭되는 시련의 구슬로 아이템을 교환할
수 있다.
<던전
공략을 더욱 쉽고 빠르게 만들어주는 구슬 교환 아이템!
보러가기> 글:
게임메카 노지웅 기자(올로레, abyss220@gamemeca.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