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기사 >

힐러의 진화를 꿈꾼다! 치유량 증가 옵션 탐구

/ 1

  [아이온메카>메카리포트]


1.9 ‘데바총집결’ 업데이트와 함께 등장한 ‘치유량 증가’ 옵션은 치유성 유저들의 관심을 한몸에 받았다. 하지만 1.9 패치가 업데이트 된지 약 5개월이 지난 지금도 이 치유량 증가 옵션이란게 무엇인지, 얼마나 효율이 있는지 모르는 유저가 너무나 많다. 아는 것이 힘이라고 했다. 힐러라면 꼭 알고 넘어가야 하는 치유량 증가 옵션에 대해 알아보자.
 

  힐량이 높아진다! 치유량 증가

 

       치유량 증가의 정의

치유량 증가란 아이템이나 스킬 효과로 높일 수 있는 치유량 증가 능력치다.

치유량 증가 옵션의 수치는 아이온의 대부분 능력치가 그렇듯, 구체적인 수치로 표현되는 것이 아닌 내부적으로 변환이 되는 정수로 표시가 된다. 한눈에 알아보기 힘든 표시 방식이기 때문에 수많은 치유성 유저들이 치유량 증가 옵션의 정확한 효능을 궁금해하는 것이 사실이다.
 

       치유량 증가 아이템 종류

1.9 업데이트 이후로 나오는 ‘사슬 아이템’ 에는 치유량 증가 옵션이 대부분 적용되어 있다. 가장 손쉽게 치유량 증가 옵션을 높이는 방법은 각 마을의 무기, 방어구 판매 NPC와 함께있는 ‘대여 장비 NPC’ 에게서 장비를 대여하는 것이다. 전승급의 사슬아이템은 치유량 증가 옵션을 가지고 있어서 가장 빠르고 쉬운 방법이지만 전승급의 아이템이라서 가지고 있는 옵션의 질이 떨어지는 편이다. 이동속도, 공격속도 같은 중요한 옵션들이 누가 골라 먹은 듯 빠져있다.

좀 더 좋은 옵션의 치유량 증가 아이템을 손쉽게 구하고 싶다면 백금, 금, 은, 동 주화 보상 아이템을 이용하면 된다. 업데이트 전부터 존재해왔던 마군(마족), 천군(천족) 주화 시리즈 아이템에는 기존옵션에서 치유량 증가 옵션이 추가 되었다.


▲1.9 업데이트 이전부터 존재하던 아이템에도 `치유량 증가 옵션`이 있다
(※정보 출처: 아이온 파워북)
 

  얼마나 늘어나는 건데? 치유량 증가 효율

치유량 증가가 적용된 아이템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지만, 정확한 치유량 증가 수치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정확히 밝혀진 바가 없다. 그래서 55레벨 마족 치유성 캐릭터를 이용한 간단한 실험으로 정확한 치유량 증가 옵션의 증가 수치와 스킬 종류별 효율을 구해보기로 했다.
 

       치유량 증가 실험 방법

 

1. 실험 방법

치유량 증가 옵션에 변화를 주면서 치유 스킬을 사용하고
그 치유량의 차이로 정확한 치유량 증가값을 구한다.

2. 실험 캐릭터

55레벨 치유성(마족)

3. 사용 스킬

 치유의 빛 V
 
스킬의 기본 치유량 1152

 재생의 빛 IV
 
스킬의 기본 치유량 69

4. 치유량 증가 옵션

치유량 증가 0 (초기상태)
치유량 증가 70 (치유량 장비 세트 착용)
치유량 증가 500(증폭의 기도 I 사용시)

치유량 증가 옵션의 변화에 따라 증가하는 힐량을 계산해서 치유량 증가 옵션의 정확한 치유량 증가율을 구하는 것이 이번 실험의 중점 과제다. 변수는 치유량 증가 옵션 수치에 따른 치유량의 증가 수치량이며 아이온에서의 치유량은 고정수치 이기 때문에 치유량의 평균을 구할 필요는 없었다.

이미 치유량이 고정적이라는 환경이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실험 자체는 굉장히 간단했다.
치유량 증가 옵션이 0인 상태와 장비 아이템으로 70을 설정했을 경우와
‘증폭의 기도 I’버프를 사용해서 치유량 증가 옵션을 500으로 만들었을 때를 비교
해서
치유량 차이를 역으로 계산해서 방정식으로 치유량 증가 옵션으로 증가하는 수치를 정확히 구하면 치유량 증가 옵션으로 상승하는 증가량값을 유도할 수 있었다.

 

치유량 증가 0
(A) 

치유량 증가 70
(장비 착용, C)

치유량 증가 500
(증폭의 기도, B)

치유의 빛
기본힐량 1152

1382
(230)

1464
(311)

1958
(806)

재생의 빛
기본힐량 69

82
(13)

87
(18)

117
(48)

▲치유량 증가 옵션에 차등을 준 상태에서의 실제 치유량 결과
괄호 안의 값은 기본 치유량과의 차이를 뜻한다

기존에 알려져 있던 치유량 공식을 이용하여, `치유량 증가 옵션` 적용 후의 결과를 보고 공식을 구해보았다.
단, 위 표의 결과에서 치유성의 특성 스킬인 `치유력 강화 IV`의 치유량 20% 증가를 염두해 둔 상태로 계산했다.

[변수 정의]
-
치유 스킬이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치유량 = S
-
기본 치유량 기준 치유량 증가 옵션으로 인한 증가율 = X
-
치유량 증가 옵션이 0일 때 게임상에서 실제 나타나는 치유량 = A
-치유량 증가 옵션이 500일 때 게임상에서 보여지는 치유량 =B

치유량이 0일 경우의 치유수치에 해당하는 A의 공식은
이미 (스킬의 기본 치유량) + (치유력 강화 IV로 상승하는 치유량 20%)으로 알려져 있는 상태다.
치유력 강화 IV 효과를 동일하게 받는 조건에서 `치유량 증가 옵션`의 수치만을 달리한 A와 B의 경우를 토대로 치유량 증가 옵션의 실제 수치가 기본 치유량의 몇 배인지 확인해볼 수 있도록 식을 세웠다.

X × S = B - A

이 공식에 표1의 실제 게임상의 수치를 대입해보면..

X × 1152 = 1958 - 1382
→ X = 576 ÷ 1152
→ X = 0.5

※치유량 증가 옵션이 500일 때, 기본 치유량 S의 0.5 배만큼 치유량이 더 증가했다.

치유량 증가 옵션이 500일 때 스킬의 기본 치유량의 50%만큼 치유량이 늘어났으므로,
치유량 증가 옵션 1당 기본 치유량의 0.1%만큼 추가 치유량을 얻게 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그리고 이 공식을 다른 표본인 C의 경우에도 위에서 구한 공식은 약간의 소수점 차이를 제외하고 그대로 적용되었다. 1의 차이는 공식 자체의 문제라기 보다는, 기본 치유량인 1152의 보이지 않는 소수점에 의한 오차로 추정된다.

1152 + {1152 × (70×0.1%)} + (1152 × 20%)
→ 1152 + 80.64 + 230.4 = 1463.04


       종합평가

치유량 증가 옵션은 스킬이 가지고 있는 기본 치유량에서 백분율 비율로 상승 하기 때문에
기본 치유량이 큰 스킬일수록 더 많은 치유량 증가를 기대할 수 있었다.

실제 사냥에서 지속적인 효과의 치유 스킬과 캐스팅을 하는 단발성 치유 스킬을 사용해 본 결과
치유량 증가 옵션을 일시적으로 높여주는 버프 상태에서는 짧은 시간동안 다수의 파티원에게 그 효과를 적용시킬 수 있는 지속적 효과의 치유 스킬이 더 효율이 좋고, 치유량 증가 옵션 수치가 낮을 시에는 캐스팅이 있는 단발성 치유 스킬의 더 효율이 좋았다.

 
▲즉시시전에 쿨타임도 없는 `지속효과 치유 스킬`의 효율이 더 좋다

 

   치유량 증가 옵션의 미래

현재 치유량 증가 옵션을 많이 지닌 최상급 사슬아이템을 세트로 착용하면 적어도 100이상의 치유량 증가 옵션 수치를 만들 수 있다. 버프성 스킬들이 상승시키는 치유량 증가 옵션량에 비해선 적은 편이지만, 아이템으로 100이상의 수치를 맞추면 영구적으로 적용되는 힐량 10% 증가 버프와 같으므로 그 효율은 상당하다.

실제로 치유량 증가 옵션을 높이고 사냥을 해보았을 때, 파티원의 체력이 전보다 안정적이라는 것을 바로 체감할 수 있을 정도였다. 힐량이 너무 높아져서 몬스터의 위협수준을 크게 증가시켜 힐러가 위험에 처하는 상황이 자주 발생했다는 것이 문제지만, 파티원끼리의 호흡을 잘 맞춘다면 충분히 극복이 가능한 문제이다. 치유량 증가 옵션이 없던 1.9 업데이트 이전에는 치유스킬을 쓸 때 아이템의 비중이 크지 않아서 “만렙달면 할 게 없다.”라고 외치던 치유성들에게 새로운 목적을 제시했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다. 앞으로도 많은 치유량 증가 옵션에 관련된 소모성 아이템이나 스킬, 마석등이 등장하면 더욱 각광받을 치유량 증가 옵션을 좀 더 알고 사용한다면 훨씬 사랑받는 힐러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

   ▲사랑주고 사랑받는 힐러가 되자
   
(이미지 출저: 플리다우스님의 카툰)

  

글: 고영웅 기자(aion@gamemeca.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플랫폼
온라인
장르
MMORPG
제작사
엔씨소프트
게임소개
'아이온'은 천족과 마족, 그리고 두 종족을 위협하는 용족간 극한 대릭을 그린 RVR 중심 MMORPG다. 동서양 신화 및 설화를 바탕으로 개발된 1,500여개 이상의 퀘스트와 5,000장 이상의 원화 작업 및 ... 자세히
게임잡지
2005년 3월호
2005년 2월호
2004년 12월호
2004년 11월호
2004년 10월호
게임일정
2025
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