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온 메카 > 메카리포트] 흔히 마도성의 `집중의 기원`을 사기성 짙은 스킬이라고 말한다. 짧은 시간이지만 마법 적중을 1000이나 상승시켜 대상의 마법 저항을 쓸모없게 만들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작 마도성들은 마법 적중 수치가 2000을 넘어도 명중이 되질 않아 곤란하다고 말한다. 과연 누구의 말이 옳은 것일까? 마법 저항과 관련된 궁금증과 적정 수치를 찾아내기 위해 오랜만에 메카 실험실이 출동했다.
마법 저항은 착용한 아이템의 마법 저항 수치와 스킬에 의한 보정값(마법 저항 증가)에 따라 발동 확률이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스킬은 100% 적중하지만 이 스킬의 영향을 받는 대상의 마법 저항 수치에 따라 마법 공격이 무위로 돌아갈 수 있다. 마법 저항에 성공하면 적이 사용한 마법 공격을 튕겨 내는 듯한 행동을 하는데, 이럴 때는 마법 공격으로 인한 대미지나 상태이상에 대한 피해를 입지 않는다.
마법 저항의 효율성을 실험하기 위해서 선택된 직업은 마법 공격이 주를 이루며 `집중의 기원`스킬을 가지고 있는 55레벨 마도성, 그리고 자체 회복이 가능해 빠른 실험에 도움이 될 55레벨 치유성을 준비했다. 마도성은 특별히 마법 적중 세트를 착용하지 않았으며 치유성의 경우 `정예 천부장 세트 + 군단장 악세서리 + 마법 저항 마석`으로 55레벨의 평균적인 능력치로 셋팅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스킬은 마도성의 `불꽃 화살`이었으며 실험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각 상황 별로 300번(3세트, 각 세트 별 100번)의 실험을 실시했다.
과연 마법 저항이 사기라는 소리를 들을만큼 높은 효율을 보여줄까? 아니면 그 반대로 마법 적중이 높은 효율을 보여줄 것인가? 본격적으로 실험에 돌입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많은 마도성들이 `집중의 기원`이 사기 스킬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근거로 마법 저항과 마법 적중의 효율이 다르다는 이야기를 꺼낸다. 즉 마법 저항은 수치를 올릴 수록 높은 효율을 보이지만 마법 적중은 그 효율을 따라가지 못하기 때문에 사기 스킬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것이다. 그들의 주장이 올바른 것이라면 마법 저항과 적중의 수치가 함께 높아질수록 저항 확률이 늘어나야만 했다. 하지만 실험 결과는 그들의 주장과 다르게 나왔다. 마법 저항과 적중이 똑같은 수치라면 같은 효율을 보인 것이다. 너무 낮은 수치라 오차가 있는게 아닐까 싶어 높은 수치에서도 실험해 보았지만 동일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마법 저항이 더 낮은 상황에서는 실험하기 전 예상했던 바와 같이 저항을 전혀 하지 못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이는 마법 저항 세팅을 하지 않은 유저라면 상대방의 마법 공격은 물론 각종 상태이상 공격에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 밖에 없다는 사실을 증명한다.
마법 저항이 높을 경우의 실험에서는 저항 확률이 대폭 늘어나는 것을 쉽게 확인할 수 있었다. 물론 많은 유저들이 말하는 것처럼 마법 저항 수치가 2000에 가까워질수록 마법을 7~80%씩 무조건 저항하는 것은 아니었다. 대신, 마도성의 마법 적중 평균치인 1500대에서 최대 50%에 가까운 수치만큼 저항하였으며 수치 차이가 벌어질수록 더 높은 저항 확률을 보였다. 실험 결과 마법 저항은 아이온의 다른 방어 능력치와는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른 방어 능력치가 50%의 최대 한계가 있는 것과는 달리 마법 저항은 높은 수치를 맞출수록 0%에 수렴하는 저항 확률을 가질 수 있다는 뜻이다. 이러한 결과는 마도성이나 정령성 등 마법과 상태 이상 위주의 플레이를 하는 유저들에게는 치명적임이 분명하다.
마법 저항 세팅의 효율은 확실하게 증명되었다. 하지만 마법 저항만 너무 높이면 다른 능력치에 투자를 할 수 없기 때문에 비효율적인 모습을 보일 수 있다. 그렇다면 마법 저항을 어디까지 올려야 능력치의 조화를 맞출 수 있을까? 동일한 캐릭터들로 능력치를 변경해가며 최적의 마법 저항 수치를 찾아보았다.
반복된 실험 결과, 저항과 적중의 수치 차이가 커질수록 저항 확률의 증가 폭은 미세하게 줄어드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즉 마법 저항을 높일수록 효율을 제대로 뽑아내기 어렵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수치를 어느정도 맞추는 것이 좋을까? 마법 저항을 2000 이상으로 넘기려면 마석 슬롯을 비롯한 아이템의 모든 능력치를 마법 저항 위주로 투자해야 한다. 이는 상대적으로 다른 능력치를 낮출 수 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반면에 1900 이하로 마법 저항을 세팅한다면 다른 능력치에 투자는 할 수 있지만 저항 확률이 30%대로 확 떨어지기 때문에 도박성이 너무 짙어진다는 단점이 나타났다. 위의 실험 결과를 토대로 이번 메카 실험실에서는 마법 저항의 최적 수치를 장점과 단점을 조율한 1900~2000 사이라고 도출하였다. 글: 게임메카 노지웅 기자 (올로레, abyss220@gamemeca.com) |

- 공주는 어려운 게 싫어! ‘실크송’ 이지 모드 다수 출현
- 실크송, 헬 난이도 열리는 ‘코나미 커맨드’ 있다
- 료스케 PD “디지몬 450종 모델링 리뉴얼, 애정으로 완료”
- 엔씨 명운 달린 아이온 2, 그 뒤에 펼쳐진 우려의 그림자
- [겜ㅊㅊ] 스팀 정치 시뮬 축제, 구매할 가치 있는 신작 4선
- [오늘의 스팀] 노 맨즈 스카이 '제 2의 전성기'
- 닌텐도 '서브 캐릭터 소환해 전투하는 방식' 특허 취득
- 조선 사이버펑크 '산나비', 새 주인공 외전 무료 배포 발표
- 딸 키우기 신작 '머신 차일드' 출시, 스팀도 곧
- [이구동성] 게임시장 1위 미국의 '게임 죽이기'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