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오브탱크의 차기 업데이트인 8.5패치가 2013년 5월 7일로 확정된 가운데, 새롭게 추가될 신규 전차들이 유저들 사이에서 화제다. 특히 독일의 10티어 중형전차인 'Leopard I'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신규 전차 가운데 유일하게 10티어일 뿐만 아니라, 테스트 서버에서부터 뛰어난 성능으로 명성을 날리고 있기 때문이다. 이번 시간에는 Leopard 1의 성능을 자세히 파악하기 위해, 유사한 특징을 지닌 프랑스의 10티어 중형전차 'Bat Chatillon 25t'와 비교해 보겠다.
※ 본문에서 언급하는 Leopard 1의 성능은 테스트 서버 기준으로, 라이브 서버 적용 시 달라질 수 있습니다.
Leopard 1의 최대 강점, 경전차 수준의 기동력!
8.5패치에 추가되는 독일 10티어 중형전차 'Leopard 1의 최대 강점은 빠른 기동력이다. Leopard 1은 시속 65km에 이르는 경전차 수준의 최고 속력, 초당 54도에 이르는 빠른 선회 속도를 지니고 있다. 이는 기동력을 살린 기습과 난전에 능한 프랑스의 10티어 전차 'Bat Chatillon 25t'도 마찬가지다. 따라서 Leopard 1 역시 빠른 속도를 살려 적의 본진에 난입하여 난전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운용하기 적합한 전차로 예상된다.
▲ 프랑스의 'Bat Chatillon 25t'과 'Leopard 1'의 기동력(우측 하얀 글씨) 비교
강력하면서도 정확한 Leopard 1의 주포
Leopard 1의 주포인 10.5cm포는 268/350/53의 관통력, 390/390/480의 피해량을 지니고 있다. 이는 앞서 소개한 Bat Chatillon 25t와 크게 다르지 않으나, 정확도 면에서 보면 이야기가 다르다. Leopard 1의 주포 정확도는 0.3이며, 조준 시간은 1.9초 밖에 되지 않는다. 이는 Bat Chatillon 25t는 물론, 장거리에 특화된 구축전차들도 뛰어넘는 수준의 정확도이다. 따라서 Leopard 1은 기동력을 살린 난전은 물론, 정확도 높은 주포를 활용한 원거리 화력 지원에도 강한 면모를 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Leopard 1은 Bat Chatillon 25t와 달리 클립 탄창을 사용하지 않아서, 순간 화력은 다소 밀릴 수 있다. 다만 10.5cm포의 연사 속도는 분당 6.67발로 10티어 전차 중에 빠른 축에 속하기 때문에 큰 단점이라 볼 수 없다.
▲ Bat Chatillon 25t과 Lepard 1(우측 하얀 글씨)의 주포 성능 비교
한편 Leopard 1의 포탑 부앙각은 -9도/+20도로, 부앙각이 넓기로 유명한 미국 전차들과도 견줄 수 있는 수준이다. 따라서 험한 지형에서의 전투에도 강한 면모를 보일 것으로 보인다.
Leopard 1의 유일한 단점, 장갑은 없는 것과 다름없다
앞서 살펴본 대로 Lepard 1은 기동형 중형전차로 이름을 날려온 Bat Chatillon 25t에 전혀 밀리지 않는 기동력과 화력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이들은 얇은 장갑이라는 단점마저도 같다. Leopard 1은 차체 장갑이 전면70mm/측면35mm/후면25mm, 포탑 장갑이 52mm/60mm/60mm밖에 되지 않는다. 이는 Bat Chatillon 25t과 거의 비슷한 수준이며, 고티어 자주포들의 고폭탄에 완전히 관통당할 만큼 얇은 두께다. 따라서 Leopard 1은 기동력을 살린 난전을 펼치든, 원거리에서 화력을 지원하든 절대 피격당하지 않겠다는 마음으로 운용해야 한다.
▲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Bat Cahitillon 25t와 Leopard 1(우측 하얀 글씨) 모두
10티어 전차 앞에서는 장갑이 없다고 보아도 될 수준으로 얇다
글: 게임메카 김상진 기자 (에레하임, wzcs0044@gamemeca.com)

- 멈추지 않는 사후지원, 스타듀 밸리 1.7 업데이트 발표
- '코유키 사태' 블루아카, 외부 접속 원천 차단 등 보안 강화
- [인디言] 스타듀 밸리와 센과 치히로의 만남, 괴물여관
- 이스케이프 프롬 타르코프, 마침내 스팀 출시 확정
- 왕이 볼 때만 일하는 ’더 킹 이즈 워칭‘ 한국어 패치
- 신라 배경 소울라이크 ‘남모’ 스팀 상점페이지 열었다
- 할로우 나이트: 실크송, 중국어 '비추천' 이어진 이유는?
- 인디게임협회, 한국인공지능게임협회로 명칭 변경
- 모호한 인디게임 기준 논쟁, '페르시아의 왕자'에서 재점화
- 스타듀 밸리 개발자, 할로우 나이트: 실크송에 성우 참여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