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타 2(DOTA 2)'나 '리그오브레전드(LOL)'와 같은 AOS 게임은 팀원과 소통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게임을 플레이하다보면 말을 길게 쓰기 힘든 급박한 상황이 많이 생긴다. 때문에 리그오브레전드나 도타 2 유저들은 긴 단어를 한 두개의 알파벳으로 줄여 게임 내에서 사용하고 있다. 오늘은 도타 2에서 쓰이는 다양한 줄임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라인 용어
Mid : 아군 진영에서 상대 진영으로 향하는 큰 길 중 가운데 길을 말한다.
Top : 아군 진영에서 상대 진영으로 향하는 큰 길 중 왼쪽 길을 말한다.
Bot : 아군 진영에서 상대 진영으로 향하는 큰 길 중 오른쪽 길을 말한다.
Jungle : 큰 길 사이에 있는 지역으로, 중립 크립이 있는 장소를 말한다.
Woods : Jungle과 같은 의미로 쓰인다.
▲ 도타 2는 리그 오브 레전드와 다르게 타워의 배치가 비대칭이다
아이템 용어
줄임말 | 아이콘 | 이름 | 줄임말 | 아이콘 | 이름 | |
AC | ![]() | 돌격 흉갑 | HS | ![]() | 극도석 | |
abyssa | ![]() | 천상의 미늘창 | Lothars | ![]() | 어둠의 검 | |
Aghs or Agha | ![]() | 아가님의 홀 | mantle | ![]() | 지능의 망토 | |
Avatar, BKB | ![]() | 칠흑왕의 지팡이 | Mek | ![]() | 메칸즘 | |
buriza | ![]() | 다이달러스 | Mkb | ![]() | 여의봉 | |
Blink | ![]() | 점멸 단검 | MoM | ![]() | 광기의 가면 | |
BoT | ![]() | 여행의 장화 | orchid | ![]() | 증오의 꽃가지 | |
drum | ![]() | 지구력의 북 | Phase | ![]() | 위상변화 장화 | |
dust | ![]() | 현시의 가루 | pipe | ![]() | 통찰의 파이프 | |
Crow | ![]() | 비행 짐꾼 | PT | ![]() | 능력의 장화 | |
Deso | ![]() | 심판도 | RoB | ![]() | 바실리우스 반지 | |
DR | ![]() | 신의 양날검 | RoR | ![]() | 재생의 반지 | |
Eaglehorn | ![]() | 독수리 나팔 | RoH | ![]() | 생명력 반지 | |
gem | ![]() | 현시의 보석 | SnY | ![]() | 산화와 야차 | |
HotD | ![]() | 지배자의 투구 | Vlads | ![]() | 블라디미르의 공물 | |
HoT | ![]() | 타라스크의 심장 | Hex, Sheep or Sheep stick | ![]() | 바이스의 낫 |
▲ 리그오브레전드와는 다른 도타 2의 아이템
북미 채팅에서 자주 보이는 용어
AFK : Away from keyboard의 줄임말로 아군에게 자리를 비운다는 것을 알리는 용도로 쓰인다.
Ar : Armor의 줄임말로 대미지 감소 능력치를 뜻한다.
B : Back의 줄임말. 앞으로 나아가지 말고 돌아오라는 뜻이다.
BRB : Be right back의 줄임말로 곧 돌아온다는 뜻으로 사용한다. 주로 마을에 다녀오기 전에 쓰는 말이다.
care : Be careful의 줄임말로 라인에서 적 영웅이 사라졌을 때 주의를 주기 위해 쓰인다.
CD : Cool down과 Creep deny의 줄임말로 상황에 따라 다르게 사용한다. Cool down일 때는 쿨다운이 남아 스킬 사용이 어렵다는 뜻으로, Creep deny일 때는 상대 크립을 디나이한 수로 표현한다.
CrC : Critical Strike chance의 줄임말로 치명타 공격을 할 확률을 나타낸다.
CrD : Critical Strike damage의 줄임말로 치명타 공격의 대미지를 말한다.
CK : Creep kill의 줄임말로 상대 크립 또는 중립 크립을 처치한 수를 의미한다.
crit : Critical attack 혹은 Critical strike의 줄임말로 치명타 공격을 뜻한다.
CS : Creep Stats의 줄임말로 CD와 CK값을 합한 수이다.
DC : Disconnected의 줄임말로 접속이 끊어졌다는 뜻이다.
DD : 맵 중간에 나타나는 룬 중 더블 대미지 룬을 지칭한다.
dmg : Damage의 줄임말로 대미지를 뜻한다.
Def or fend : defend의 줄임말. 라인 이름과 함께 쓰이며 방어를 요청할 때 쓰인다.
dps(=AS, Attack speed) : Damage per second의 줄임말로 초당 대미지를 의미한다.
Farm : 라인에서 크립을 사냥하며 골드를 모으는 행위를 말한다. 이 행동을 지속해서 하는 것을 'Farming'이라고 한다.
Focus : 한 명의 영웅을 집중적으로 공격하고자 할 때 쓰인다. 보통 뒤에 영웅 이름을 적는다.
Gank : 지정한 대상을 갱킹하라는 의미로 쓰인다.
Harass : 적을 반복적으로 공격하라는 뜻이다. 정글러가 갱킹을 시도할 때 쓰이거나 적군 영웅의 'Farming'을 방지하라는 의미로 쓰인다.
Juke : 적을 유인해 킬을 따내는 행위를 말한다.
MS : Movement Speed의 앞글자를 딴 말로 이동 속도를 의미한다.
OMW : On my way의 줄임말로 지금 가고 있다는 의미로 사용한다.
Pull : 라인을 당기라는 뜻이다. 보통 정글러가 갱킹을 시도할 때 라이너한테 지시하는 용도로 쓰인다.
Push : 라인을 밀라는 뜻이다. 적 포탑이나 진영을 부술 때 아군 영웅을 모으는 용도로 쓰인다.
Rosh : 가장 강력한 중립 크립인 로샨을 사냥하거나 로샨이 있는 위치로 아군 영웅을 불러들일 때 쓴다.
Spam : 기술의 쿨다운이 다 될 때마다 사용하라는 요청으로 게임 내에서는 보통 기술 명과 함께 쓰인다.
TP : 순간이동 주문서를 지칭하는 말. 라인명과 같이 표기할 경우 혹은 순간이동 주문서를 사용하거나 여행의 장화를 사용해 교전에 참여하라는 의미로 쓰인다.
라인전 용어
miss, mia : 라인전에서 눈 앞의 적 영웅이 사라졌을 때 쓰는 용어로, 아군 영웅들에게 주의를 환기시키기 위한 용도로 쓰인다.
re : 사라졌던 적 영웅이 라인에 다시 복귀했을 때 쓰는 용어로 miss, mia와는 반대되는 의미로 쓰인다.
영웅 관련 용어
nuke : 일반적으로 주문으로 가해지는 대미지를 뜻한다. 게임 진행 중에는 영웅 이름을 뒤에 붙여 해당 영웅에게 집중 공격을 가하라는 뜻으로 쓰인다.
ult : 궁극 기술. ultimate의 줄임말로 영웅이 6레벨 때 배울 수 있는 네번째 기술을 뜻한다.
oom : Out of mana의 줄임말로 마나가 전부 소모되었을 때 쓰는 말이다.
mana : 원래는 마나라는 뜻이지만 마나가 전부 소모되었을 때도 쓰인다.
cd : Cooldown의 줄임말로 궁극기를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을 알리는 용도로 쓰인다.
stacked(=farmed) : stacked of items의 줄임말로 6개 이상의 아이템을 소지해 더 이상 아이템을 살 수 없다는 의미로 쓰인다.
글: 게임메카 강설애 기자 (파곰, pogomwer@gamemeca.com)

- 멈추지 않는 사후지원, 스타듀 밸리 1.7 업데이트 발표
- ‘품절 대란’ 블루아카 카드, 예약 생산으로 되팔이 막는다
- '코유키 사태' 블루아카, 외부 접속 원천 차단 등 보안 강화
- [인디言] 스타듀 밸리와 센과 치히로의 만남, 괴물여관
- 이스케이프 프롬 타르코프, 마침내 스팀 출시 확정
- [기자수첩] 탑골공원 '장기' 금지, 게이머들이 겹쳐 보인다
- '카이팅 쉬워졌다' 롤 WASD 이동 테스트 시작
- 왕이 볼 때만 일하는 ’더 킹 이즈 워칭‘ 한국어 패치
- 신라 배경 소울라이크 ‘남모’ 스팀 상점페이지 열었다
- [이구동성] 그랜드 테프트 실크송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