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기사 >

불의 땅 네임드 공략! -라그나로스 편-

/ 1

[와우(WOW) > 메카리포트 > 던전공략]

던전 기본 정보


던전 위치

불의 땅은, 하이잘 산의 남쪽에 자리 잡고 있는 10, 25인 공격대 던전 이다. 라그나로스와 그의 부관들이 지키고 있는 이 던전은 하이잘 산 지역 지도 남서쪽에 있는 `설퍼론의 첨탑`글자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라그나로스


불의 땅의 군주, 라그나로스는 아제로스를 만든 태고의 화염에 담긴 분노와 파괴를 상징합니다. 넵튤론과 테라제인은 라그나로스가 아제로스를 불태워도 간섭하지 않겠다고 약속했습니다. 이제 라그나로스는 고대 신을 기쁘게 하고자 세계수 놀드랏실을 불태우려고 합니다.

불의 군주 라그나로스는 불의 땅의 심장부, 설퍼론 요새에서 플레이어를 기다리고 있다.


보스 몬스터 요약

10인 파티 분배

탱커 2, 힐러 3, 딜러 5

25인 파티 분배

탱커 2, 힐러 7, 딜러 16



라그나로스

+ 10인: Lv.?? / 생명력 6,699만 / 정령형
+ 25인: Lv.?? / 생명력 2억 / 정령형  


1페이즈

설퍼라스 강타 - 라그나로스가 무작위 플레이어의 위치에 설퍼라스를 내리쳐 반경 5미터 내의 모든 대상에게 536,250의 화염 피해를 입힌다. 40초의 재사용 대기 시간을 가진다.

용암 파도 - 설퍼라스 강타가 시전된 지점에서 세 방향으로 용암 파도가 솟구쳐 나간다. 파도에 휘말린 플레이어는 97,250~102,500의 화염 피해를 입고 뒤로 밀려나며, 5초 동안 1초마다 29,250~30,750의 화염 피해를 입는 약화 효과에 걸린다.

라그나로스의 징벌 - 무작위 플레이어 1명의 위치(25인 공격대의 경우 3명)에 폭발을 일으켜 6미터 반경 내의 모든 플레이어에게 58,500~61,500의 화염 피해를 입히고 뒤로 밀쳐낸다.

라그나로스의 손길 - 라그나로스가 55미터 반경 내의 모든 적에게 29,250~30,750의 화염 피해를 입히고 뒤로 밀쳐낸다.

마그마 덫 - 25초마다 무작위 플레이어의 위치에 마그마 덫을 설치한다. 덫은 바닥에 설치될 때, 8미터 반경 내의 모든 플레이어에게 58,500~61,500의 화염 피해를 입히고 뒤로 밀쳐낸다. 설치된 덫을 밟을 경우, 덫이 발동하여 모든 플레이어는 78,000~82,000의 화염 피해를 입고 덫을 밟은 플레이어는 공중으로 높이 떠오른다. 설치된 마그마 덫은 밟지 않는 이상, 전투가 끝날 때까지 없어지지 않는다.

마그마 작렬 - 라그나로스의 근접 공격 가능 범위에 플레이어가 없을 경우 사용한다. 가장 높은 위협 수준을 가진 플레이어에게 73,125~76,875의 화염 피해를 입히고 받는 화염 피해가 6초 동안 50% 증가하는 약화 효과를 유발한다.


2페이즈
 

용암 화살- 4초마다 무작위 플레이어 네 명(25인 공격대의 경우 10명)에게 43,875~46,125의 화염 피해를 입힌다.


분할의 일격 - 지면에 설퍼라스를 내리꽂아 6미터 반경 내의 모든 플레이어에게 68,250~71,750의 화염 피해를 입히고 화염의 피조물 8마리를 생성한다. 8초의 시전 시간을 가진다. 
 


화염의 피조물

+ 10인: Lv.87 / 생명력 16만 / 정령형
+ 25인: Lv.87 / 생명력 82만 / 정령형  


2페이즈와 4페이즈에 화염의 피조물 8마리가 단상 외곽에서 등장하여 설퍼라스를 향해 돌진한다.

불타는 속도 - 화염의 피조물의 생명력이 50% 이상일 때, 체력 5% 당 이동 속도가 75% 증가한다. 피조물의 생명력이 50% 이하로 떨어지면 이 효과는 사라진다.

초신성 -  화염의 피조물이 설퍼라스에 닿으면 사용한다. 모든 플레이어에게 121,875~128,125의 화염 피해를 입힌다. 
 


3페이즈

설퍼라스 강타/용암 파도/마그마 작렬 - 1페이즈와 동일

휘몰아치는 불길 - 40초마다 단상의 3분의 1 범위에 불길을 일으킨다. 불길에 휘말린 플레이어는 즉시 68,250~71,750의 화염 피해를 입고, 1초 후 다시 동일한 양의 화염 피해를 입는다.

타오르는 씨앗 -  1분마다 플레이어의 위치에 타오르는 씨앗을 던져 반경 6미터 내의 모든 플레이어에게 53,625~56,375의 화염 피해를 입힌다. 바닥에 뿌려진 타오르는 씨앗은 10초 뒤, 폭발하여 모든 플레이어에게 추가 광역 화염 피해를 입히는데, 이 때의 피해량은 씨앗과 플레이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커진다. 


녹아내린 정령

+ 10인: Lv.87 / 생명력 19만 / 정령형
+ 25인: Lv.87 / 생명력 25만 / 정령형  


타오르는 씨앗이 폭발한 자리에서 녹아내린 정령이 등장한다. 이들은 위협 수준을 인식하지 않고, 무작위 플레이어를 공격한다.

녹아내린 정령은 특별한 사용 기술이 없다.
 


4페이즈

분할의 일격/용암 화살/화염의 피조물 - 2페이즈와 동일


용암의 후예
+ 10인: Lv.87 / 생명력 207만 / 정령형
+ 25인: Lv.87 / 생명력 620만 / 정령형  

4페이즈에 분할의 일격을 사용하면 화염의 피조물 외에 용암의 후예 두마리가 단상 양쪽 끝에서 추가로 생성된다.

타오르는 열기 - 무작위 플레이어에게 타오르는 열기를 주입하여 5초 동안, 1초 주기로 대상의 발 밑에 화염을 일으킨다. 플레이어가 화염을 밟을 경우 1초마다 48,750~51,250의 화염 피해를 입고, 화염의 피조물이나 용암의 후에가 밟을 경우 1초마다 생명력을 10% 회복한다.
 


5페이즈

설퍼라스 강타/휘몰아치는 불길/마그마 작렬: 3페이즈와 동일

살아있는 유성 - 라그나로스가 단상 중앙에 살아있는 유성을 소환하여 반경 5미터 내의 모든 플레이어에게 63,375~66,625의 화염 피해를 입힌다.

유성 충격 - 살아있는 유성은 추락한 뒤, 주기적으로 대상을 변경해가며 무작위 플레이어를 추격한다. 유성으로부터 4미터 반경 내에 플레이어가 존재할 경우, 8미터 내의 모든 플레이어에게 487,500~512,500의 화염 피해를 입힌다. 유성은 45초 주기로 소환되며 계속해서 누적된다.

발화 가능 - 단상을 돌아다니는 살아있는 유성은 플레이어의 공격을 받으면 뒤로 밀려나는 `발화 가능` 효과를 가진다. 이 효과는 발동되면 5초 간 사라졌다 다시 나타난다.
 

라그나로스와의 전투는 5페이즈에 걸친 장기전이다. 각 페이즈의 경계는 라그나로스의 체력에 의해 구분된다.

※ 전투의 전체적인 흐름

(1) 라그나로스의 생명력이 70%가 되면 용암 안으로 숨고, 2페이즈가 시작된다.
(2) 45초가 경과되거나, 화염의 피조물 8마리를 처치하면 3페이즈가 시작된다.
(3) 라그나로스의 생명력이 40%가 되면 다시 용암 안으로 숨고, 4페이즈로 넘어간다..
(4) 45초가 경과되거나, 화염의 피조물 8마리를 처치하면 5페이즈가 시작된다.
(5) 라그나로스의 생명력이 10%가 되면 전투가 종료된다.


보스 몬스터 공략

◆ 1페이즈

(1) 단상 안 쪽의 용암 웅덩이에 라그나로스가 자리잡고 있으며, 전투 내내 웅덩이 밖으로 나오지 않는다. 근접 공격 범위 내에 플레이어가 없을 경우, ‘마그마 폭발’을 사용하여 받는 화염 피해를 증가시키는 중첩 가능한 약화 효과를 유발한다. 강력한 광역 화염 공격을 자주 사용하는 라그나로스와의 전투에서 마그마 폭발에 걸린다면 큰 위험 요소가 된다. 탱커는 항상 라그나로스와 근접 거리를 유지하자.

(2) 라그나로스는 근접 공격 시, 6~8초 주기로 탱커에게 ‘불타는 상처’ 약화 효과를 유발한다. 이효과는 2초 주기로 대상에게 5,000의 화염 피해를 입히며, 계속해서 중첩된다. 이로 인해 라그나로스는 탱커 두 사람이 교대하며 탱킹해야 하며, 일반적으로 4~5 중첩 정도에 탱커를 교체하면 안전하다.


▲ 불타는 상처가 중첩될수록 힐러들의 부담은 커진다

(3) 라그나로스는 40초 주기로 ‘설퍼라스 강타’를 사용한다. 바닥에 내려치는 설퍼라스에 직접 타격 당할 경우, 50만에 달하는 피해를 입고 일격에 사망한다. 또한 강타가 시전된 위치에서 세 방향으로 용암 파도가 솟구쳐 나가는데, 파도에 휩쓸릴 시에도 큰 화염 피해를 입는다.


▲ 용암 파도의 방향은 `ㅜ`를 연상하면 쉽다. 용암 파도 피하기는 공략의 기본!

설퍼라스 강타는 라그나로스가 모습을 드러내는 1/3/5페이즈 내내 사용한다. 공격대원들은 항상 집중해서 강타와 용암 파도를 피해야 한다. 이는 공략의 기본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4) 1페이즈에 라그나로스는 25초 주기로 ‘마그마 덫’을 사용한다. 마그마 덫은 플레이어가 밟지 않는 이상 아무 피해가 없지만, 이 경우에 덫이 사라지지 않고 누적되어 단상 전체가 덫으로 가득차게 된다. 라그나로스와의 전투는 단상 전체를 넓게 활용해야 하기 때문에, 덫이 쌓이지 않도록 누군가 밟아서 제거해야 한다. 덫을 밟으면 폭발하여 공격대 전체에 큰 광역 피해를 입히고, 덫을 밟은 당사자를 공중으로 높게 띄워 올려 추가 낙하 대미지를 입힌다.

따라서 덫 처리자는 더 큰 위험에 노출되기 때문에, 낙하 대미지를 경감 혹은 무효화할 수 있는 방법을 가진 캐릭터가 담당해야 한다. 대표적으로 낙하 대미지를 무효화할 수 있는 마법사의 점멸과 저속 낙하, 흑마법사의 악마의 마법진, 사제의 공중 부양을 들 수 있다. 그 외에도 전문 기술 ‘기계공학’을 익힌 캐릭터가 망토에 ‘낙하산’ 마법부여를 하여, 이를 활용해도 좋다.


▲ 꼭 정해진 시점에 전담자가 밟아야 할 마그마 덫 

(5) 라그나로스는 1페이즈 동안, ‘라그나로스의 징벌’을 사용하여 무작위 플레이어에게 계속해서 큰 화염 피해를 입힌다. 만약 마그마 덫을 처리하는 시점에 라그나로스의 징벌을 사용할 경우, 해당 공대원은 큰 위험에 빠진다. 힐러들은 모든 공대원들의 체력 관리에 각별히 집중해야 하며, 덫을 밟는 담당자도 공격대원들의 체력을 확인하고 덫을 밟아야 한다.

(6) 라그나로스의 체력이 70%가 되면 2페이즈로 전환된다.


◆ 2페이즈

(1) 2페이즈 시작과 동시에 라그나로스는 8초의 시전 시간을 가지는 분할의 일격을 사용한다. 설퍼라스의 강타처럼 시각효과가 발생한 지점을 설퍼라스로 내려치는데, 직접 타격을 당하면 즉사하니 주의하자.


▲ 분할의 일격 사용 장면, 저 망치에 깔린다면 살아남지 못할 것이다

분할의 일격을 사용한 라그나로스는 설퍼라스를 단상 위에 떨어뜨린 채, 용암 웅덩이로 들어가버려 2페이즈 동안 공격할 수 없다. 바닥 위의 설퍼라스에 플레이어가 닿게 되면 큰 화염 피해를 입게 되니 주의하자.

(2) 분할의 일격을 시전하면 단상의 외곽에서 화염의 피조물 8마리가 등장하여 바닥에 놓인 설퍼라스를 향해 돌진한다. 피조물들은 최초 등장 시, 이동 속도를 크게 향상시키는 `불타는 속도` 효과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잠시만 방심해도 설퍼라스에 충돌하고 만다. 피조물이 설퍼라스와 충돌하면 `초신성`이 발동하여 공격대 전체에 큰 화염 피해를 입힌다.


▲ 피조물은 넓게 분포되어서 나오기 때문에, 꼭 딜러들이 전담하여 처리해야 한다

한 번이라도 초신성이 발동된다면 라그나로스의 공략에 실패하기 때문에, 피조물의 처리는 2페이즈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공격력이 뛰어난 딜러들은 누구보다도 빠르게 각자 하나의 피조물을 전담하여 처리하자. 피조물은 기절 효과가 유효하니 기절 상태를 유발할 수 있는 기술을 가진 직업들은 최대한 활용하자. 이 점은 딜러보다 공격력이 약한 탱커에게 유용하다.

(3) 힐러들의 공격력으로는 화염의 피조물을 처치하기 어렵지만, 다른 피조물을 처리한 딜러들이 올 때까지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피조물의 발을 묶어두는 역할은 수행해야 한다. 특히 기절을 유발할 수 있는 신성기사(심판의 망치), 회복 드루이드(곰 형태로 변신한 후 강타)의 역할이 중요하다.

(4) 2페이즈 동안 라그나로스는 용암 웅덩이 안에 몸을 숨긴 채, 무작위 공대원에게 `용암 화살`을 사용하여 화염 피해를 입힌다. 힐러들은 피조물 처리도 중요하지만, 공격대원들의 체력 관리도 게을리하지 말자.

(5) 피조물 8마리가 모두 처치되거나, 45초가 경과되면 3페이즈로 전환된다.


◆ 3페이즈

(1) 3페이즈가 되면 라그나로스는 용암 웅덩이 밖으로 모습을 드러낸다. 1페이즈에 이어서 설퍼라스 강타를 사용하지만, 더 이상 징벌과 마그마 덫은 사용하지 않는다.

(2) 라그나로스는 3페이즈부터 `휘몰아치는 불길`을 사용한다. 이는 큰 피해를 유발하는 화염을 바닥에 생성하는 기술로, 그 범위는 전투가 벌어지는 단상의 3분의 1에 해당될 만큼 넓다.


▲ 바닥 피하기는 레이드의 기본이다


▲ 불길은 그림처럼 좌우 방향, 단상 3분의 1 범위를 뒤덮는다
어느 라인에 생길지는 알 수 없으니 항상 발 밑을 조심하자

휘몰아치는 불길은 화염이 생성되고 3초 뒤, 피해를 유발하기 때문에 시각 효과가 생성되면 바로 자리를 피하자.

(3) 3페이즈에 사용하는 또 다른 기술은 타오르는 씨앗이다. 타오르는 씨앗은 모든 플레이어의 위치에 생성되면서 반경 6미터의 모든 플레이어에게 광역 화염 피해를 입힌다. 따라서 3페이즈에 모든 공격대원들은 개인 거리 6미터 이상을 유지해야 한다.

타오르는 씨앗은 생성된 후, 8초가 경과하면 폭발을 일으켜 또 다시 광역 화염피해를 입힌다. 이 때 피해량은 폭발 지점과 거리가 멀수록 경감되는데, 근접 범위에서는 100,000에 가까운 큰 피해를 입지만, 40미터 이상 거리가 멀어지면 7,000까지 피해량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공격대는 타오르는 씨앗 생성 이후, 빠르게 위치를 벗어나기 위한 대비를 해야 한다.


▲ 중앙 비우기, 6미터 산개, 씨앗이 생성되면 빠르게 모이기, 3박자를 꼭 기억하자
씨앗은 주기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미리 준비만 잘 갖추면 대처하기 쉽다

타오르는 씨앗을 피해 이동하는 과정에서 힐링에 누락이 발생하기 쉽다. 이 때 탱커들의 생존기 및 힐러들의 외부 생존기를 활용하자.

(4) 타오르는 씨앗은 폭발과 동시에 녹아내린 정령을 생성한다. 이들은 위협 수준을 인식하고 무작위 플레이어를 공격하기 때문에 탱킹할 필요는 없다. 체력도 적은 편이니 빠르게 광역 처리하자.


▲ 씨앗 폭발을 제대로 피했다면 공격대는 한 지점에 뭉쳐 있을 것이다
정령들도 공격대의 위치에 뭉쳐서 달려올테니 광역 처리하면 효율적이다

(5) 이상의 패턴을 반복하며 라그나로스의 체력을 40%까지 깎으면 4페이즈로 전환된다. 4페이즈는 2페이즈의 화염의 피조물이 다시 등장하는데, 이 때 녹아내린 정령의 처리가 완료되지 않았다면 공략에 큰 차질이 생긴다. 반드시 녹아내린 정령을 처리하고 다시 타오르는 씨앗을 사용하기 전에, 4페이즈로 전환되게끔 라그나로스의 체력을 조절하자.


◆ 4페이즈

(1) 4페이즈는 2페이즈와 동일하게 화염의 피조물 8마리가 등장한다. 단 2페이즈와 다른 점은 단상의 좌,우측 끝부분에서 ‘용암의 후예’ 2마리가 추가로 등장한다는 점이다. 이들은 근접 공격이 강력하기 때문에 반드시 탱킹이 요구된다. 탱커 두 사람이 각각 하나씩 맡아서 탱킹하자.


▲ 힐러들도 피조물 처리를 돕기 때문에 탱커도 생존기를 사용하여 힐러의 부담을 줄여주자
사진은 고대 왕의 수호자를 사용하는 보호 기사의 모습

(2) 4페이즈는 탱커들이 용암의 후예로 인해 화염의 피조물 처리를 보조할 수 없다. 딜러들은 2페이즈보다 더욱 빠른 속도로 화염의 피조물을 처리해야 하니 각자 최대한의 역량을 발휘해보자.

(3) 용암의 후예는 무작위 플레이어에게 ‘타오르는 열기’를 사용한다. 타오르는 열기에 걸린 플레이어는 5초 동안, 1초 주기로 자신의 위치에 화염을 생성한다. 화염을 밟은 플레이어는 큰 화염 피해를, 화염의 피조물이나 용암의 후예는 10%의 생명력이 회복된다.


▲ 이처럼 단상 외곽에 화염을 깔아주면 좋다

모든 공격대원들이 타오르는 열기를 피해야 함은 물론, 탱커들도 용암의 후예가 타오르는 열기에 진입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타오르는 열기의 대상자는 화염이 다른 공격대원들이 없는 위치에 생성되도록 단상의 외곽으로 이동하자.

(4) 45초가 경과하거나 화염의 피조물 8마리가 모두 처리되면 5페이즈에 돌입한다.

◆ 5페이즈

(1) 라그나로스가 용암 웅덩이에서 나와 모습을 드러낸다. 생명력이 높은 용암의 후예들은, 4페이즈에 완벽하게 처리되지 않고 남아있을 것이다. 이들이 사용하는 타오르는 열기에 의해 생성된 바닥의 화염은 5페이즈의 전투에 방해가 된다. 딜러들은 용암의 후예부터 마무리하고 라그나로스를 공격하자.

(2) 라그나로스는 3페이즈에 이어 설퍼라스 강타, 휘몰아치는 불길을 계속해서 사용한다. 이전 페이즈와 동일한 방법으로 대처하자.

(3) 5페이즈의 추가 스킬은 ‘살아있는 유성’이다. 살아있는 유성은 무작위 대상을 추격하며, 광선 형태의 시각효과를 통해 대상을 확인할 수 있다. 추적 대상자는 주기적으로 변경된다.


▲ 유성의 추적 대상은 이처럼 광선 형태의 시각 효과로 구별할 수 있다

타오르는 유성은 추격 대상자는 물론, 어떤 플레이어라도 4미터 이내에 근접하면 폭발하여 반경 8미터 이내의 모든 플레이어에게 즉사할 정도의 큰 피해를 입힌다. 유성은 플레이어의 공격을 받으면 뒤로 밀려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접근을 차단할 수 있다. 하지만 설퍼라스 강타와 휘몰아치는 불길을 피하면서 유성까지 처리하기란 쉽지 않다. 특히 유성은 한 번 밀려나면, 5초 동안 공격해도 다시 밀려나지 않기 때문에 공간 확보는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다음 그림처럼 공격대의 진형을 유지해야 한다.


▲ 3페이즈와 거의 유사한 5페이즈의 진형 잡기
더 이상 산개는 필요없으며 가운데 공간은 플레이어가 아닌 유성의 몫임을 기억하자

타오르는 유성은 플레이어가 근접하면 폭발하기 때문에 원거리 딜러가 유성을 공격하는 쪽이 바람직하다. 유성은 사라지지 않고 전투가 진행될수록 누적되기 때문에, 전투 후반으로 갈수록 더욱 집중이 요구된다.


▲ 전투가 지속되면 유성의 숫자가 누적되어 이렇게 떼로 몰려다닌다

(4) 라그나로스의 체력이 10%가 되면 용암 웅덩이 속으로 사라지며 전투가 종료된다.

역할별 간단 공략


탱커 간단 공략

(1) 타오르는 상처의 중첩이 쌓일수록 힐러의 부담은 커진다. 4~5중첩 사이에 탱킹을 인계한다.
(2) 라그나로스는 근접 공격 범위에 대상이 없을 경우, 마그마 폭발을 사용한다. 라그나로스의 곁을 떠나지 않도록 주의하자.
(3) 2/4페이즈에 등장하는 화염의 피조물은 탱커도 최대한 처리를 도와야 한다. 만약 화력이 모자라다면 딜러들이 올 때까지 기절을 유발할 수 있는 기술로 최대한 시간을 벌자.
(4) 3페이즈에 타오르는 씨앗을 사용할 때, 공격대 전체가 먼 거리를 이동해야 한다. 이 때. 탱커는 라그나로스에게 멀어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5) 4페이즈에는 화염의 피조물 뿐만 아니라, 탱킹이 반드시 요구되는 용암의 후예 2마리가 등장한다. 탱커들은 빠르게 위협수준을 확보하여 공격대원들을 보호하자.
(6) 5페이즈의 유성은 탱커도 예외없이 주의해야 한다. 유성이 접근하면 원거리 딜러들이 공격하여 날려낼 때까지 자리를 피하자.


딜러 간단 공략

(1) 설퍼라스 강타는 라그나로스가 활성화되어 있는 1/3/5페이즈에 모두 사용한다. 무조건 피할 것!
(2) 더불어 3/5페이즈에 사용하는 휘몰아치는 불길도 반드시 피해야 하는 기술이다.
(3) 2/4페이즈에 등장하는 화염의 피조물은 설퍼라스에 닿기 전에 처리되어야 한다. 딜러들의 역량이 중요한 순간이므로 가능한 모든 기술을 사용하자. 특히 피조물은 기절 상태가 유효하니 적극적으로 활용하자.
(4) 라그나로스가 3페이즈에 타오르는 씨앗을 사용하면 빠르게 자리를 피해야 한다. 딜링보다 이동과 생존이 중요함을 잊지 말자. 곧이어 등장하는 녹아내린 정령은 위협 수준을 인식하지 않고 체력이 적으니 광역 기술을 사용, 빠르게 처리하자.
(5) 5페이즈에 나타나는 살아있는 유성을 공격하여 뒤로 밀어내지 않으면, 폭발을 일으켜 많은 공대원들이 희생이 뒤따른다. 딜러들은 유성이 접근하면 다른 사람에게 미루지 말고, 우선 유성부터 밀어내자. 특히 근접할 수 없는 유성의 특성상, 원거리 딜러들의 집중력이 요구된다.


힐러 간단 공략

(1) 라그나로스가 사용하는 모든 기술들은 강력한 광역 피해를 유발하는 경우가 많다. 힐러들은 전투 내내 집중해야 한다.
(2) 설퍼라스 강타는 라그나로스가 활성화되어 있는 1/3/5페이즈에 모두 사용한다. 무조건 피할 것!
(3) 더불어 3/5페이즈에 사용하는 휘몰아치는 불길도 반드시 피해야 한다.
(4) 2/4페이즈에 등장하는 화염의 피조물은 힐러들도 처리를 지원해야 한다. 가능한 딜링과 기절 유발 기술을 활용하여 최대한 지원하자. 동시에 라그나로스가 꾸준히 사용하는 용암 화살에 의한 피해자가 없도록 공대원들의 체력 관리도 놓쳐서는 안된다.
(5) 3페이즈에 타오르는 씨앗을 사용하면 빠르게 자리를 피해야 한다. 이동 과정에서 힐링에 무리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탱커의 경우 가장 위험하다. 이 때 외부 생존기를 아끼지 말자.
(6) 5페이즈의 타오르는 유성에는 절대 접근하지 말자. 원거리 딜러들이 처리하는 것이 우선이지만, 위급한 경우 힐러들이 직접 유성을 밀어내도 좋다.


공격대장을 위한 1분 `복사 + 붙여넣기` 브리핑

※ 아래의 글을 복사하여 브리핑에 사용하세요.

(1) 설퍼라스 강타랑 이어서 생기는 용암 파도는 무조건 피하셔야 합니다. 이건 기본 중의 기본이에요.

(2) 1차에 마그마 덫은 누군가 밟아서 꼭 제거해야 합니다. 마법사나 흑마법사 분들이 점멸이랑 악마의 마법진 활용해서 해주시면 됩니다. 밟기 전에 공대원들 체력 꼭 확인하시고 안정됐을 때 밟으시는 거 잊지 마세요.

(3) 탱커 분들은 타오르는 상처 5중첩에 탱킹을 인계하세요.

(4) 2/4페이즈에 화염의 피조물들 나옵니다. 각자 위치 지정해드릴 테니 책임지고 처리하세요. 탱커, 힐러분들은 못잡으면 최대한 기절 걸어서 발 묶으시고, 딜러분들은 담당 피조물 처리했다고 놀면 안됩니다. 남은 피조물이 모두 정리될 때까지 집중하세요.

(5) 3/5페이즈엔 휘몰아치는 불길 씁니다. 그냥 바닥보고 피하시면 되니까 어려운 것 없습니다. 집중하시고 반응만 빨리하시면 됩니다.

(6) 타오르는 씨앗 깔리면 광역 피해 들어오니 미리 최소 6미터 거리로 산개하세요. 씨앗 깔리면 빠르게 이동해서 벗어나시고 이 때 힐이 많이 밀리니 위험하면 각자 생존기 최대한 활용하세요.

(7) 4페이즈에 용암의 후예 두 마리가 추가로 나옵니다. 탱커분들이 손 못쓰니 화염의 피조물 처리할 때, 딜러분들은 2페이즈보다 더 집중하셔야 해요. 그리고 타오르는 열기 주입 걸린 분들은 바닥 외곽에 깔아서 다른 공대원들이 피해 받거나 화염의 후예가 체력 회복되는 일 없게 하세요.

(8) 5페이즈는 유성만 안 터뜨리면 쉽습니다. 원거리 딜러분들은 유성 가까이 오면 딜 욕심 내지 말고, 일단 밀어내세요. 그리고 유성이 가까이 온다 싶으면 잠깐씩 피하시구요. 어려운 것은 없지만, 집중 안하시면 바로 전멸입니다. 


공략 동영상


<영상 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TETArCl0xJQ>

: 게임메카 김상진 기자(에레하임, wzcs0044@gamemeca.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2004년 11월 23일
플랫폼
온라인
장르
MMORPG
제작사
블리자드
게임소개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는 '워크래프트' 세계관을 토대로 개발된 온라인게임이다. '워크래프트 3: 프로즌 쓰론'의 4년이 지난 후를 배경으로 삼은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에서 플레이어는 얼라이언스와 호드, 두 진... 자세히
만평동산
2018~2020
2015~2017
2011~2014
2006~2010
게임일정
2025
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