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기사 > 전체

[초급] 프로토스 vs 저그, 전쟁초원 2관문 필살 러시

/ 1

100908sc2_focus-1.jpg

※ 오픈베타 테스트로 처음 시작하는 `초보자`분들께 도움을 드리기 위한 기초전략 가이드입니다.

이번에는 전쟁초원처럼 러시거리가 가까운 맵에서 사용하기 좋은 전략을 소개 하겠습니다. 초반 상황을 유리하게 이끌어갈 수 있지만 상대가 정확히 대처하면 어려워지는 양날의 칼과 같은 전략입니다. 그러나 기본기를 탄탄히 다질 수 있고 기초적인 상황 판단을 많이 경험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전략을 선택했습니다.

이번에 설명할 2 관문 러시는 전진 관문 후 입구가 막히는 폭염사막이나 고철처리장 같은 맵 같은 곳에서 전진 관문 러시로도 활용할 수 있는 전략입니다. 특히 전쟁초원처럼 작은 맵에서는 시간증폭을 연결체에 전혀 사용하지 않고 관문에 집중적으로 사용하여 승부를 볼 수도 있습니다. 여러분도 3 - 5 - 7 광전사 타이밍의 재미를 느껴보시길 바랍니다.

◇ 간단 빌드 오더
9 수정탑 → 입구쪽 12 관문 건설 후 정찰 → 입구쪽 13 두 번째 관문 건설 → 15 수정탑 → 시간 증폭을 사용하여 16 광전사 생산 → 18 두 관문에서 광전사 생산

정찰은 관문을 건설한 후에 가는 것이 좋습니다. 전쟁초원 맵은 본진과 상대 진영이 가깝고 2인용 맵입니다. 또한 2 관문 체제로 운영할 것이기 때문에 급하게 정찰할 필요가 없습니다. 조금이라도 미네랄 채취에 신경쓰는 것이 좋습니다. 첫 관문이 완성되면 시간 증폭을 사용하여 광전사를 생산합니다. 그리고 생산한 광전사는 저그 진영으로 러시를 하는 것처럼 속임수를 씁니다. 첫 번째 광전사가 생산되는 시기에 두 번째 관문이 완성될 것입니다. 두 번째 관문이 완성되면 지금가지 모아둔 시간 증폭을 각각의 관문에 사용합니다.

214.jpg

▲ 두 관문에 각각 시간증폭을 사용한다. 차후 방어를 위해 관문으로 입구를 좁혀놓는 것이 좋다

전쟁초원 맵은 작기 때문에 저그는 산란못을 먼저 건설한 후 가스를 채취할 것입니다. 그리고 2 관문 체제인 것을 확인하면 저그는 광전사를 막기 위해 빠르게 바퀴를 생산하려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건설한 관문에서 광전사를 꾸준히 생산하여 상대를 압박하고 제련소를 건설하여 차후 바퀴 러시에 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광전사가 5기 생산되면 저그 진영으로 러시를 감행합니다. 이 때 상대가 바퀴 체제를 선택했는지, 저글링의 '대사촉진 진화' 업그레이드를 선택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215.jpg

▲ 5기 광전사 러시를 하면 저그의 체제를 확인할 수 있다

상대가 바퀴 소굴을 건설하고 있다면 광전사로 상대 저글링과 싸우며 압박합니다. 만약 상대가 도망간다면 바퀴소굴 및 추출장 등을 공격합니다. 만약 가시촉수가 건설되어 있다면 가시촉수 사거리 밖에서 공격합니다.

216.jpg

▲ 7기의 광전사로 바퀴소굴을 파괴하는 모습

그리고 저글링과 바퀴의 역습을 대비하여 본진에 광자포를 하나 건설합니다. 또한 광전사는 쉬지 않고 계속 생산하면서 테크 트리를 올립니다. 광전사를 계속 뽑아야 하기 때문에 무리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계속 상대를 압박하면서 공격적으로 운영해야 합니다. 바퀴의 숫자가 만만치 않게 생산되어 있다면 본진 언덕으로 올라가 추적자를 생산하면서 방어하면 됩니다.

217.jpg

▲ 추적자를 생산하여 저글링+바퀴조합의 역습을 대비한다

Tip1) 추적자는 바퀴보다 이동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무빙 컨트롤을 해주면서 교전을 하면 효율적으로 전투할 수 있습니다.

Tip2) 두 관문으로 입구를 좁힌 상태에서 우측 관문 오른쪽에 수정탑을 건설하면 입구를 완전히 봉쇄할 수 있습니다. 위기 상황에 수정탑을 재빨리 건설하면 시간을 벌 수 있습니다.

저그가 초반 피해를 많이 보았을 경우 맹독충을 활용한 올인 러시를 감행할 수 있습니다. 맹독충 러시를 막는 최고의 방법은 파수기의 '역장'을 활용하는 것입니다. 맹독충이 다가올 예상 경로에 '역장'을 사용하면 쉽게 방어할 수 있습니다.

218.jpg

▲ 파수기의 역장을 활용하여 맹독충의 경로를 방해하면 쉽게 방어할 수 있다

맹독충 역습까지 방어에 성공했다면 프로토스가 거의 이겼다고 볼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생산한 광전사+파수기+추적자 조합으로 마무리 러시를 하면 GG를 받아낼 수 있을 것입니다.

219.jpg

    ▲ 광전사+파수기+추적자 조합으로 마지막 러시를 감행한다

이번 빌드는 반드시 '3 광전사 - 5 광전사 - 7 광전사' 타이밍에 상대에게 피해를 주면서 공격적으로 운영해야 합니다. 이 빌드로 플레이를 많이 하면 광전사 컨트롤이 좋아지고 저그의 역습을 방어하는 능력 또한 발전할 수 있습니다. 특히 완전히 승부를 봐야 하는 올인 빌드가 아니기 때문에 초보 유저 분들에게 강력하게 추천합니다. 다시 한번 강조 하자면 '3 광전사 - 5 광전사 - 7 광전사' 타이밍이 이 빌드 오더의 핵심입니다.

Tip) 저그가 맹독충을 활용할 때 파수기의 역장으로 맹독충이 다가오는 길을 막으면 효율적으로 방어할 수 있습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게임잡지
2006년 8월호
2006년 7월호
2005년 8월호
2004년 10월호
2004년 4월호
게임일정
2025
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