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기사 >
월드오브탱크는 게임 내 전차를 조작하여 적을 타격해야 하기 때문에 기본적인 전차 구조를 숙지한 후 게임을 시작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월드오브탱크(이하 WOT) 게임메카에서 게임을 처음 시작하는 초보자들을 위해 전차의 기본 구조와 게임 내 역할을 정리해 보았다.

▲ 전차의 구조에 대해서 알아보자
전차의 기본구조
전차는 크게 포탑과 차체의 2중 구조로 이루어져있다. 포탑은 화력무기인 주포와 기관총, 사격 및 무전장비인 암시투광기와 측거기, 탄도계산기 등이 장치되어 있다. 차체는 기관과 캐터필러(무한궤도)가 장비되어 있고, 연료탱크, 전지, 조종장치 등이 내장되어 있다.

▲ 전차의 구조
주포는 상하로 포신을 움직일 수 있으나, 좌우회전은 제한을 받으므로 필요 시에는 포탑을 돌려 선회시켜야 한다. 또한, 포탄을 발사할 때 포신의 후퇴와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한 강력한 주퇴복좌기가 장비되어 있다. 추진기관은 일반적으로 디젤기관이 사용되며, 뒤쪽에 있는 기동바퀴를 회전시켜서 캐터필러를 움직인다.
전차의 장갑은 차체와 포탑의 앞부분이 가장 두꺼우며, 장갑의 합금과 열처리법에 따라서 강도가 결정된다. 대체로 차체와 포탑 부분엔 역학적인 경사를 두어 적의 탄환에 명중되더라도 미끄러지도록 고안되어 있으며 오늘날에는 장갑을 2중으로 만든 것, 혹은 알루미늄•플라스틱으로 제작한 전차도 출현하였다.
또한, 승무원이 안락하게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액기압식의 현가장치를 사용하여 전차의 진동을 최소화하였으며, 포의 조작, 포탑의 조종 등을 전기•유압 장치에 의해서 쉽게 동작시키도록 되어 있다.
전차는 중전차가 주축이며, 100mm 이상 포를 장비하고 시속 50km, 항속거리 400km 내외의 성능을 가진다.
전차의 주된 공격 수단, 주포
주포는 WOT의 주된 공격수단이다. 일반적으로 구경이 클수록 위력이 좋아지고, 포의 길이에 비례하여 명중률과 관통률이 상승한다.

▲ 주포에 대해서 알아보자

▲ 전차에서 주포의 위치
구경 [Caliber(mm)]
구경이란 쉽게 말해 포의 직경이다. 일반적으로 구경이 클수록 하위 구경의 포보다 높은 위력을 가지고 있다. 또한 구경이 클수록 적재량이 줄어들고, 작은 구경에 비해 장전 시간이 길다.
연사속도 [Rate of Fire(rounds/min)]
연사속도란 1분간 주포가 포탄을 발사하는 횟수로 숫자가 높을수록 발사속도가 빠르다. 해당 연사 기준은 포수의 숙련도를 100%로 하며 그 보다 낮으면 표기 수치보다 낮은 연사속도로 발사한다. 또한 장비 중 Rammer를 장착하여 연사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지만, 조준 속도 보다 연사 속도가 높은 경우 정확도가 떨어지게 된다.
평균 관통력 [Average Penetration(mm)]
평균 관통력이란 탄두의 평균 관통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실제는 표기의 75%~125%의 대미지를 줄 수 있다. 표기 순서는 ‘① AP/프리미엄/HE’, ‘② HE/프리미엄’으로 되어 있다.
100m 대비 정확도 [Accuracy at 100m(m)]
100m 대비 정확도란 100m의 목표를 사격했을 시 실제 오차 범위를 말한다. 오차 범위가 좁을수록 정확한 명중률을 나타내며, 정차와 최대 조준시의 수치이기 때문에 이동간 사격의 정확도는 더 떨어지게 된다. 해당 정확도의 기준은 포수의 숙련도가 100%일 경우를 기준으로 하며 그보다 낮으면 표기 수치보다 정확도가 떨어지고, 높으면 더 낮은 오차 범위로 발사할 수 있다.
조준속도 [Aiming time(sec)]
조준속도란 조준원이 완벽하게 모일 때까지 필요한 시간이며, 이는 빠를수록 좋다. 해당 조준 속도의 기준은 포수의 숙련도가 100%일 경우를 기준으로 하며, 그보다 낮으면 표기 수치보다 느린 조준 속도를 발휘한다. 장비 중 Enhanced Gun Laying Drive를 장착하면 조준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Vertical Stabilizer를 장착하여 이동간 조준원이 크게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무게 [Weight(kg)]
무게란 해당 주포의 무게를 나타내는 것으로 서스펜션의 제한 하중에 걸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Compatible Vehicles
해당 주포를 장학할 수 있는 차량을 나타낸다.
Compatible Shells
해당 주포에 사용되는 탄종을 나타낸다.
포탑, 주포 탑재와 관측범위에 영향을 주는 부품
WOT의 포탑은 전차의 관측 범위를 결정할 뿐 아니라, 고성능 주포의 탑재 가능 여부를 가르는 중요한 부품이다. 일부 전차의 포탑은 전차의 체력을 높여주는 기능도 수행하며, 일반적으로 선회력에 비례하여 포탑의 회전이 빨라진다.

▲ 포탑에 대해서 알아보자

▲ 전차에서 포탑의 위치
포탑 장갑 두께 [Armor(h.p)]
보통 포탑은 차체보다 더 두꺼운 장갑으로 구성된다. 포탑의 앞면은 두껍고, 측면과 후면은 얇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포탑 회전 속도 [Traverse speed(/sec)
말 그대로 포탑의 회전 속도를 뜻하며, 초당 움직이는 각도가 클수록 회전속도가 빠른 포탑이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중(重)전차의 포탑 회전 속도가 제일 느린 편이며, 체급이 가벼워질수록 회전속도가 빨라진다.
View range
View range란 포탑의 시야 거리를 뜻한다. 기본 포탑보다 업그레이드한 포탑의 시야거리가 더 길지만, 몇몇 모델은 시야 거리에 차이가 없는 경우도 있다.
무게 [Weighr(kg)]
해당 포탑의 무게를 표시한다.
Compatible Vehicles
해당 포탑을 장착할 수 있는 차량을 표시한다.
※ 상태이상
포탑이 데미지를 입으면(주황색) 포탑의 회전속도가 감소한다. 또한 포탑이 파괴되면(빨간색) 포탑은 기동할 수 없게 된다. 포탑이 파괴되었어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자체 수리를 통해 사용할 수 있다.
엔진, 전차를 달리게 하는 심장
WOT의 엔진은 현가장치와 함께 전차의 기동력에 영향을 주는 부품이다. 엔진의 품질은 마력(h.p)으로 표시되며, 일반적으로 마력이 높을수록 좋은 엔진이라 할 수 있다.

▲ 전차의 엔진에 대해서 알아보자
엔진출력 [Engine power(h.p)]
엔진이 낼 수 있는 힘을 표시하는 지표로 상위의 엔진일수록 수치가 높다. 엔진은 전차의 가속도에 영향을 미치며, 전차의 무게를 엔진출력으로 나눈 톤당 마력비가 높을수록 가속도가 올라간다.
화재확률 [Chance of Fire on Impact(%)]
엔진에 화재가 발생할 확률을 나타낸다. 엔진룸이 피격당했을 때 이 확률만큼 화재가 발생한다. 전차의 엔진룸에 화재가 발생하면 진화될 때까지 1~2%의 체력이 지속적으로 감소한다. 화재는 일정확률로 진화되는데 승무원의 소화(Fire fighting)스킬로 진화 확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소비용품 중 소화기를 이용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무게 [Weight(kg)]
해당 엔진의 무게를 표시한다.
Compatible Vehicles
해당 엔진을 장착할 수 있는 차량을 표시한다.
현가장치, 빠른 선회를 도와주는 핵심부품
WOT의 현가장치는 트랙 또는 서스펜션이라고 불리운다. 현가장치는 탱크의 선회력을 결정하는 기준 중 하나이며, 엔진과 함께 전차의 기동력에 영향을 준다. 일반적으로 선회력이 높으면 전차 회전이 빨라진다.

▲ 현가장치에 대해서 알아보자

▲ 전차의 현가장치
회전속도 (도/초)
트랙이 회전하는 수치로 초당 선회력이 높을수록 회전이 빨라진다.
최대 중량 (톤)
현가장치가 감당할 수 있는 최대 중량을 나타내는 수치다. WOT에서는 현가장치의 최대 중량을 초과하는 무게의 장비는 장착할 수 없다. 이 때문에 현가장치를 업그레이드하는 것은 전차의 성능을 높일 수 있는 가장 기초적인 과정이다.
중량(kg)
해당 현가장치의 무게를 표시한다.
장착 가능한 전차
해당 현가장치를 장착할 수 있는 전차들을 나타낸다.
상태이상
현가장치가 대미지를 입을 경우 전차의 속도와 선회력이 감소한다. 또한 현가장치가 파괴되면 전차는 움직일 수 없다. 일정시간이 지나면 파괴된 현가장치는 자체 수리되며 이후 운전이 가능하다.
무전기, 전장을 밝히는 등불
WOT에서 무전기는 정보를 공유하는 거리를 결정한다. 또한, 무전기는 상위 전차와 호환되어 저티어부터 연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연구에 필요한 경험치가 다른 부품보다 월등히 높은 편이다.

▲ 무전기에 대해서 알아보자
무전기 거리와 가시 거리는 적군의 탱크를 발견하고 볼 수 있는 능력에 모두 영향을 미친다. 아군이 무전기의 적용 거리 안에 있으면 자신이 미니맵에 스팟한 적을 아군과 공유할 수 있으며, 자신도 아군의 가시거리 안에 있는 적을 볼 수 있다.

▲ 무전기의 종류와 무전기 별 범위를 보여주는 창
무전기 범위 [Radio Range]
무전기 범위 안에 있는 2대의 아군 전차는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만약 2대의 전차가 각 무전기 범위의 합 안에 있다면 서로 교신할 수 있다. 즉 무전기 범위가 200m인 전차와 500m인 전차는 700m 안에서 서로 교신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무전기 통신은 두 전차간의 쌍방향 통신이다. 두 전차가 교신거리 내에 있다면 각 전차는 서로의 시야를 공유할 수 있다. 이 교신은 연쇄적이지 않아 교신 상대가 다른 아군의 공유하는 통신 정보를 나에게 공유해줄 수 없다. 그러나 미니맵 상으로는 공유가 가능하며, 이를 이용하여 자주포가 적을 타격 할 수 있다.
글: 게임메카 임현주 기자 (nashira@gamemeca.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더 넓고 깊게 보고, 분석한 결과를 게이머분들에게 전해 드리겠습니다.riceboy@gamemeca.com
- 할로우 나이트: 실크송, 중국어 '비추천' 이어진 이유는?
- 공주는 어려운 게 싫어! ‘실크송’ 이지 모드 다수 출현
- [이구동성] 코유키의 넥슨 안방 침입
- 료스케 PD “디지몬 450종 모델링 리뉴얼, 애정으로 완료”
- 스타듀 밸리 개발자, 할로우 나이트: 실크송에 성우 참여
- [겜ㅊㅊ] 스팀 정치 시뮬 축제, 구매할 가치 있는 신작 4선
- 실크송, 헬 난이도 열리는 ‘코나미 커맨드’ 있다
- 딸 키우기 신작 '머신 차일드' 출시, 스팀도 곧
- 네오플 노조, 임시 업무 복귀 후 9월 중 다시 파업하겠다
- [오늘의 스팀] 노 맨즈 스카이 '제 2의 전성기'
게임일정
2025년
09월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