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모바일, 산업

청강문화산업대학, 2011년 부터 아이패드로 강의

/ 1

문화특성화 대학인 청강문화산업대학은 2011학년도부터 신입생 전원과 교직원들에게 아이패드를 지급하고, 아이패드를 이용한 강의를 시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아이패드 강의는 노트와 펜으로 필기를 하던 수업방식이 아닌 아이패드 기기를 통해 강의 교안을 제공하고 학습하도록 하는 수업이다.

수업을 준비하는 교수자는 학습 도구 저작툴을 이용해 수업자료를 생성 및 업로드하고, 학생은 아이패드를 통해 이를 다운로드하여 수업에 참여하게 된다. 여러 학생들이 함께 하는 그룹 과제를 비롯해 즉석 과제, 개인 및 그룹 퀴즈를 실시간 참여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양방향의 즉각적이고 자유로운 피드백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수업 시간 및 과제 제출 마감은 알림 기능이 미리 알려준다.

아이패드는 수업에서뿐만 아니라 학교와의 커뮤니케이션에도 활용된다. 기존의 학사관리 시스템의 정보가 보다 개인에게 밀착되어 필요한 시간에 알림과 함께 전달되고, 메시지를 받은 학생은 그 자리에서 다시 아이패드로 해당 내용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학교에 대한 의견을 보다 자유롭게 제시할 수 있고, 학내에서 개선 사항이 발견되는 즉시 학생은 해당부서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아이패드 3G버전 사용자의 경우, GPS 기능을 활용하여 아이폰으로 교내 모든 건물의 기본 정보와 그 건물에서 도와줄 교직원, 건물의 수업, 건물에서 진행되는 행사 등 수시로 업데이트 되는 정보를 함께 볼 수 있다.

또한, 학생 개인의 과제, 일정, 문화생활 등을 관리할 수 있고, 아이패드 3G버전 사용자의 경우, GPS 시스템과 연동하면 개인의 허락 하에 서로의 위치 정보를 알 수 있어서 교내에서 함께 활동할 수 있다.

최근 스마트폰의 보급화로 인해 대학들의 스마트캠퍼스 구축 열기가 고조되고 있지만 스마트 캠퍼스라 표방하는 대부분의 대학들의 경우, 대학 홈페이지에서 서비스 중인 DB정보를 모바일 환경에 맞게 구현해주는 원시적 정보 제공이 대부분이다. 반면, 청강문화산업대학은 기존 스마트캠퍼스 애플리케이션 외에 아이패드용 자기주도형 학습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실제 수업에 활용함으로써 학생이 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준다는 데 차이점이 있다.

청강문화산업대학은 이러한 계획을 위해 산학관 공동으로 자기주도형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 중에 있으며, 인프라 구축을 위해 KT와 협력하여 캠퍼스 전 지역에 쿡앤쇼(Qook&Show) 존을 설치하고 현재 Wi-Fi 음영지역도 대폭 해소하기로 했다.

청강문화산업대학이 이처럼 아이패드 수업을 실시하는 데는 이유가 있다. 2011학년도부터 이 대학은 기존의 24개 학과를 문화산업 발전방향에 맞추어 ▲ 콘텐츠스쿨 ▲ 에코라이프스쿨 ▲ 패션스쿨 ▲ 뮤지컬스쿨 ▲ 모바일스쿨의 5개 스쿨로 재편해 3년제로 운영한다. 이 5개 영역이 문화 컨텐츠의 트렌드를 주도하고 핵심영역이 될 것으로 보고, 미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대규모 개편을 단행하게 된 것이다.

학교 측은 이러한 대규모 개편과 함께 새로운 학습의 경험을 제공하는데 아이패드야말로 가장 적합한 미디어라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아이패드를 활용해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학생과 학생간, 교수와 학생간, 학생과 학교간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보다 경쟁력 있는 학습 및 창작 성과를 이루어낼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아이패드의 핵심 기능인 양방향 소통 기능을 통해 역동적이고 재미있는 스마트 캠퍼스를 만들어 갈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대학은 문화 특성화 대학의 특성상, 만화, 애니메이션, 게임 등의 문화 컨텐츠 창작물이 많고, 푸드스타일, 패션디자인 등 창의적인 작업들이 많은 만큼 교수진과의 원활한 소통이 필수적이다. 또한, 2010년 모바일스쿨과 콘텐츠스쿨은 전문대학으로는 유일하게 중소기업청이 선정한 ‘앱 창작터’로 선정되어 앱 개발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이 대학이 보유한 문화부분에 특화된 학과들과 창의적인 작업의 특성상 아이패드가 가장 적합한 수단이 되어 학생들에게 새로운 학습과 경험의 장을 열어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게임잡지
2006년 8월호
2006년 7월호
2005년 8월호
2004년 10월호
2004년 4월호
게임일정
2025
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