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독일 분데스리가의 로고
'분데스리가'라는 명칭은 독일과 오스트리아의 모든 프로 스포츠 리그에 사용되지만, 일반적으로 그 중에서 가장 인기있는 독일의 최상위 프로 축구 리그를 일컫는다. 분데스리가는 1963년에 지역별로 나뉘어 운영되던 독일의 축구 리그들이 통합되며 출범하였다. 유럽의 다른 유명 리그에 비해 역사는 짧지만 구단과 지역 도시, 후원 기업 간의 연계가 잘 되어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정부 차원에서도 투자를 아끼지 않는 덕분에 대부분 구단이 건전한 재정을 유지하며 빠르게 성장하였다.
분데스리가의 소속 팀들은 최고 수준 클럽인 '바이에른 뮌헨'을 제외하면 다른 유럽의 명문 구단에 비해 경쟁력이 떨어지는 편이다. 하지만 앞서 언급한대로 대부분의 구단들이 건전한 재정을 유지하고 있기에, 일부 상위 클럽만 수익을 독점하는 여타 리그에 비해 중하위권 층의 실력은 타 리그에 절대 밀리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탓에 UEFA 챔피언스 리그에서는 조금 뒤쳐지는 모습을 보이지만, 유럽 클럽 대항전 가운데 두 번째로 권위있는 대회인 'UEFA 유로파 리그'에서는 독일의 클럽들도 좋은 활약을 펼치고 있다. 이는 분데스리가의 발전 가능성이 아직도 남아있음을 뜻한다.
분데스리가는 대한민국과도 인연이 깊다. 1970~80년대 차범근 선수가 전설적인 활약을 펼친 바 있으며, 그의 뒤를 이어 많은 한국 선수들이 활동한 리그이기 때문이다. 지금도 '함부르크 SV'의 손흥민, 'FC 아우구스부르트'의 구자철, '포르투나 뒤셀도프트'의 차두리 선수가 분데스리가에서 활약 중이다.
피파온라인3에도 분데스리가 2012~13 시즌에서 경쟁 중인 18개의 클럽이 구현되어 있다. 피파온라인3에서 이번 시즌에 두드러진 활약을 펼치고 있는 주요 클럽들의 정보를 확인해보자.
분데스리가 최강의 명문 구단 'FC 바이에른 뮌헨'
▲ 피파온라인3에 구현된 '바이에른 뮌헨'의 팀 정보
[피파온라인3 게임메카에서 '바이에른 뮌헨' 팀 정보 보러가기]
'바이에른 뮌헨'은 분데스리가 통산 최다 우승 기록(22회)을 보유한 명문 클럽이다. 리베리, 로벤, 노이에르 등 다른 유럽의 명문 클럽과 비교해도 뒤지지 않는 화려한 스쿼드를 바탕으로 2012~13시즌 분데스리가에서 압도적인 승점으로 1위를 달리고 있다.
바이에른 뮌헨의 경기 스타일은 매우 공격적이다. 발 빠른 윙어인 리베리와 로벤을 활용하여 빠르고 위협적인 공격을 펼치고, 상황에 따라 후방의 미드필더들도 적극적으로 공격에 가담한다. 이처럼 미드필더들의 자유로운 공격 가담은 바이에른 뮌헨을 상대하는 팀들을 위협하곤 한다.
피파온라인3의 바이에른 뮌헨은 우수한 미드필더진을 강점으로 지니고 있다. 바이에른 뮌헨의 미드필더진 평균 능력치는 70으로, 이는 기타 유명 리그의 강팀들과 비교해도 전혀 밀리지 않는 수준이다. 특히 리베리와 로벤은 게임 내에서 드리블과 스피드 관련 능력치가 가장 높은 미드필더들로, 빠른 선수를 선호하는 유저라면 반드시 영입해야 하는 선수로 판단되고 있다.
바이에른 뮌헨의 단점은 공격이 강한 만큼, 수비가 미흡하다는 점이다. 물론 명문 클럽답게 우수한 수비진들이 많지만, 미드필더들이 적극적으로 공격에 가담할 때는 빠른 템포의 역습에 약한 모습을 보이기 쉽다. 따라서 바이에른 뮌헨을 상대할 때는 철저한 수비 이후 빠른 역습을 노리는 전략이 효과적이다.
2년 연속 우승을 차지한 디펜딩 챔피언,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피파온라인3에 구현된 '보루시아 도르트문트'의 팀 정보
[피파온라인3 게임메카에서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팀 정보 보러가기]
'보루시아 도르트문트'는 바이에른 뮌헨에 이어 리그 통산 우승횟수 2위(9회) 기록을 보유한 팀이며, UEFA 챔피언스 리그에서 1회 우승도 차지한 강팀이다. 하지만 2000년대 중반부터 구단이 재정 위기를 맞은 이후 한동안 리그 하위권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침체기를 겪었다. 하지만 팬들의 지지와 선수 영입 대신 유망주 육성에 주력하는 등 재정 개선 노력을 통해 부활하여 2010, 2011시즌 분데스리가 2연패를 달성하기에 이르렀다. 또한 이 시기에 네벤 수보티지, 마리오 괴체와 같은 유망주까지 발굴하였으니 그야말로 전화위복이 아닐 수 없다.
도르트문트의 경기 스타일은 빠른 패스를 통한 점유율 축구다. 이러한 경기 스타일은 'FC 바르셀로나'를 비롯한 스페인의 클럽들이 자주 선보이지만, 분데스리가에서는 신선한 경기 스타일이다. 도르트문트는 이러한 경기 스타일에 잘 적응해나가며 현재 분데스리가 2위를 기록 중이다.
피파온라인3의 도르트문트는 강팀답게 준수한 능력치를 보유하고 있지만, 다른 유럽의 명문 클럽들만큼 압도적인 능력치를 지닌 선수는 보기 힘들다. 하지만 해당 포지션에서 꼭 필요한 능력치를 보유한 '경제형 선수'나 마리오 괴체로 대표되는 유망주가 다수 포진하고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능력치는 준수한 편이다. 초반에 적은 비용으로 효율적인 스쿼드를 구성하고자 하는 플레이어들에게 도르트문트의 선수들이 인기를 끌 것으로 보인다.
도르트문트처럼 패스 위주의 경기를 펼치는 팀들은 패스가 차단당할 경우 역습에 취약하며, 아예 공격진의 수를 늘려 간격을 좁히고 패스 루트를 미연에 차단하는 전략을 내세울 때도 약한 모습을 보인다. 즉 도르트문트를 상대할 때는 수비 이후의 역습을 노리거나, 아예 적극적인 공세를 취하여 패스할 틈을 주지않는 전략이 효과적이다.
1인자가 되고 싶은 2인자, 'FC 살케 04'
▲ 피파온라인3에 구현된 'FC 샬케 04'의 팀 정보
[피파온라인3 게임메카에서 'FC 샬케 04' 팀 정보 보러가기]
'FC 살케 04'는 분데스리가 출범 이전에 지역 리그 시절에 7회나 우승을 차지한 강팀이다. 분데스리가로 통합된 이후에도 강팀으로 꼽히기는 하지만, 지독할만큼 우승과는 거리가 먼 불운한 팀이기도 하다. 무려 6번이나 준우승을 차지했으며 심지어 이 가운데 한번은 승점 1점차로 2위에 머문 전력까지 있다. 하지만 분데스리가 2위도 강팀이 아니면 불가능한 업적인 만큼, 살케 04 역시 그만큼의 실력을 갖춘 팀이라는 점은 틀림없다. 여담으로 앞서 소개한 도르트문트와는 같은 '베스트팔렌'주에 연고 도시가 위치하여 라이벌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살케 04의 강점은 공격과 수비의 밸런스이다. 미드필더들이 상황에 따라 공격과 수비에 적극적으로 가담하면서, 전체적인 경기를 조율하는데 강한 면모를 보이고 있다.
피파온라인3의 샬케 04는 유망주의 천국이다. 대부분의 주축 선수들이 아직 20대이며 유망주로 꼽히는 선수들도 포함되어 있다. 피파온라인3의 샬케 04는 그 어느 팀보다 무한한 발전 가능성을 지닌 클럽이라 할 수 있다.
샬케 04의 약점은 측면 수비다. 미드필더진이 부지런히 공격과 수비의 밸런스 조율하다보면 그만큼 빠른 측면 돌파에서 약해지기 쉽다. 따라서, 샬케 04를 상대할 때는 부지런히 측면을 압박하며, 미드필더들이 자유롭게 움직이지 못하도록 봉쇄해야 할 것이다.
2012~13시즌 분데스리가 참여 클럽 정보 모음
앞서 소개한 3팀을 포함하여 2012~13시즌 분데스리가에 참가하고 있는 20개 클럽의 정보를 살펴보자. 아래의 표에서 팀의 로고나 이름을 클릭하면 피파온라인3에 구현된 해당 클럽의 자세한 정보를 볼 수 있다.
2012~13시즌 분데스리가 참여 클럽 정보 보러가기 | ||||
|
|
글: 게임메카 김상진 기자 (wzcs0044@gamemeca.com)
- 플랫폼
- 온라인
- 장르
- 스포츠
- 제작사
- EA코리아 스튜디오
- 게임소개
- '피파 온라인 3'는 차세대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 향상된 전략플레이와 생생한 그래픽을 지원하며, 이를 통해 한층 사실적이고 생동감 넘치는 게임 플레이 경험을 제공할 예정이다. 전세계 40개 국가 대표팀과 30개 ... 자세히

- 할로우 나이트: 실크송, 중국어 '비추천' 이어진 이유는?
- 공주는 어려운 게 싫어! ‘실크송’ 이지 모드 다수 출현
- [이구동성] 코유키의 넥슨 안방 침입
- 료스케 PD “디지몬 450종 모델링 리뉴얼, 애정으로 완료”
- 스타듀 밸리 개발자, 할로우 나이트: 실크송에 성우 참여
- [겜ㅊㅊ] 스팀 정치 시뮬 축제, 구매할 가치 있는 신작 4선
- 딸 키우기 신작 '머신 차일드' 출시, 스팀도 곧
- 네오플 노조, 임시 업무 복귀 후 9월 중 다시 파업하겠다
- [오늘의 스팀] 노 맨즈 스카이 '제 2의 전성기'
- '소녀전선' 스팀판 일본 출시 확정, 한국은?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