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기사 >

[이적 시장 분석] 공격수 스터리지(ST) 시세 수직상승

/ 1



2013년 유럽 축구계에 겨울이적 시기가 찾아왔다. 유럽의 겨울 이적시장은 매년 1월 한달 동안 열리며, 이 시기에 각 팀마다 경기 운영상의 문제점을 보강하기 위하여 선수를 사고 팔곤 한다. 그리고 1월이 다가오기 전부터 축구관련 매체마다 ‘첼시, 팔카오에 800만 유로 배팅’ 또는 ‘호날두, 친정팀 맨유로 갈 가능성 있다.’ 등의 이적에 관련된 기사를 쏟아낸다.


이런 기사를 보는 팬들 역시 자신이 응원하는 팀에 어떤 선수가 올 것인가에 촉각을 곤두세우기 마련이다. 또한 이러한 반응은 피파온라인3를 즐기는 유저들도 마찬가지다. 피파온라인3는 실제 축구 선수들의 능력을 바탕으로 구현한 게임이기 때문에 어떤 선수가 어떤 팀으로 이적하는지, 혹은 “이적 후 선수들의 능력치는 어떻게 바뀌는가?”는 아주 중요한 사항이다.  


일례로 2013년 이적시장의 첫 물고를 튼 스터리지가 위 상황에 부합한다. 1월 3일 스터리지가 리버풀 FC에 영입되었다는 오피셜이 올라오자 피파온라인3 스터리지 카드의 시세가 급등했기 때문이다. 



▲ 2013년 1월 3일 오전 11시 스터리지의 시세


이렇듯 유럽 겨울 이적시장과 함께 들썩이는 피파온라인3의 판세를 알아보기 위하여, 2013년 EPL 겨울 이적시장 중 큰 화제가 될 선수들을 피파온라인3 게임메카에서 조사해 보았다.



1월 1주차 피파온라인3 이적시장 핫이슈


1. 뎀바 바



▲ 뎀바 바의 피파온라인3 만레벨 능력치


뎀바 바는 1985년생으로 올해 29살(만 27)이며, 현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소속의 선수다. 그는 189센티미터의 큰 키와 흑인 특유의 유연함을 무기로 이번 시즌 20경기에 출장해 13골을 기록했다. 뎀바 바는 최근 공격수 부족현상을 겪고 있는 프리미어리그에서 많은 클럽들이 원하는 매력적인 공격수임이 분명하다. 또한 그 역시 다른 팀으로 이적하려는 의지가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 많은 이들이 그의 행보에 주목하고 있다. 


<뎀바 바의 자세한 능력치 확인하러 바로가기>



2. 시오 월콧



▲ 시오 월콧의 피파온라인3 만레벨 능력치


시오 월콧은 1989년생으로 올해 25살(만 23세)이며, 현재 아스날 FC 소속의 선수다. 이제 갓 유망주의 나이에서 벗어난 그는 이번 시즌 볼 컨트롤과 골 결정력 면에서 큰 성장을 이루었으며, 현재 8골을 기록 중이다. 현재 월콧이 아스날의 주급체계에 불만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에 더 나은 주급을 제시하는 팀으로 이적할 수 있는 가능성이 크며, 이와 맞물려 아스날과의 계약기간이 6개월밖에 남지 않아 많은 클럽들이 관심을 보이고 있다. 


<시오 월콧의 자세한 능력치 확인하러 바로가기>



3. 루이스 나니



▲ 루이스 나니의 피파온라인3 만레벨 능력치


루이스 나니는 1986년생으로 올해 28살(만 26세)이며, 현재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소속의 선수다. 나니의 포지션은 윙포워드로 볼 컨트롤과 돌파력, 골 결정력에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러나 이번 시즌에는 부상으로 인해 출전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몇 달간 축구 관련 매체들은 일제히 나니의 이적에 대한 기사를 쏟아냈는데, 특히 아스날로 이적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에 무게를 두었다. 실제로 아스날 연습장 주변에서 나니의 모습이 목격되었으며, 재계약문제로 인해 퍼거슨 감독과의 불화설까지 번지고 있어 이번 겨울 이적할 가능성이 높다.


<루이스 나니의 자세한 능력치 확인하러 바로가기>




1월 1주차 피파온라인3 포지션 별 TOP10 시세변화


새해가 밝자 호날두 카드의 시세가 크게 올랐다. 2012년 12월 28일 기준으로 58만 EP였던 최하가격이 1월 3일에는 1백 50만 EP로 두 배 이상 급상승했다. 많은 유저들은 이적시장의 거품이 빠지길 기다리고 있지만, 호날두의 가격 상승폭을 보면 시세가 안정되는 날은 더욱 멀게만 느껴진다. 또한 이번 주에는 수비진을 제외한 모든 포지션의 시세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각 선수나 포지션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공격수부터 수비형 미드필더까지 대부분의 시세가 상승했다. 


반면 지난 주까지 강세를 보이던 수비진들의 시세는 하락했다. CB와 LB, RB 각각 적게는 2명, 많게는 4명을 제외한 선수들의 시세가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유저들의 수비진 보충을 위한 카드 구매가 거의 마무리 되었다고 볼 수 있으며, 이와 맞물려 현재 유저들의 심리는 공격수를 강화하기 위한 쪽으로 기울어졌다고 해석된다.



▲ 피파온라인3 ST 능력치 TOP10의 이적시장 시세표



▲ 피파온라인3 LW 능력치 TOP10의 이적시장 시세표



▲ 피파온라인3 RW 능력치 TOP10의 이적시장 시세표



▲ 피파온라인3 CAM 능력치 TOP10의 이적시장 시세표



▲ 피파온라인3 CM 능력치 TOP10의 이적시장 시세표



▲ 피파온라인3 CDM 능력치 TOP10의 이적시장 시세표



▲ 피파온라인3 CB 능력치 TOP10의 이적시장 시세표



▲ 피파온라인3 LB 능력치 TOP10의 이적시장 시세표



▲ 피파온라인3 RB 능력치 TOP10의 이적시장 시세표



▲ 피파온라인3 GK 능력치 TOP10의 이적시장 시세표


1월 1주차, 금주의 추천 선수!


매주 가격대비 성능이 뛰어난 선수를 추천하는 코너다. 피파온라인3 공식 홈페이지와 게임메카에 올라온 게시물을 바탕으로, 이름이 크게 알려진 선수는 아니지만 가격이 저렴하고 강화 물량이 풍부한 선수들을 소개하도록 하겠다.


리그앙 올림피크 리옹 소속 데얀 로브렌– 소스 제공 게임메카 ‘나혜주’님


많은 유저들이 선호하는 수비수 중 한 명인 비디치는 공중볼 경합에 강하며, 강인한 피지컬을 가지고 있어 몸싸움과 대인 수비에 좋은 점수를 받고 있다. 뿐만 아니라 비디치는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소속으로 한국인들에게도 친숙한 선수이며, 그 만큼 인기도 많아 이적시장에서 높은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2012년 1월 3일 오후 7시 기준 최저가 24만 9천 EP) 하지만, 비디치의 보급형 버전이 있다면 믿을 수 있겠는가? 바로 오늘 소개할 데얀 로브렌이다.



▲ 로브렌과 비디치의 선수비교


로브렌과 비디치는 둘 다 강한 피지컬을 소유한 수비수다. 위 비교 이미지를 보면 로브렌이 비디치에 비해 대인수비와 헤딩 능력이 떨어지지만, 오직 CB에서 활용할 수 있는 비디치와 달리 로브렌은 RB와 LB까지 활용이 가능하다. 그렇다면 로브렌의 시세는 어떨까? 놀랍게도 로브렌의 최저가는 2,300 EP(2013년 1월 3일 오후 7시 기준)로 비디치의 약 100분의 1 가격밖에 되지 않는다. 만약 로브렌 카드로 +3강을 성공한다면 1만 EP도 들이지 않고, 비디치와 동급인 선수를 소유할 수 있는 것이다. 



▲ 비디치(위)와 로브렌(아래)의 시세 비교


또한, 로브렌은 2013년 이적시장에서 첼시가 노리고 있는 수비수 중 하나로, 올해 25살(만 23세)이기 때문에 더욱 성장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피파온라인3 유저들은 젊은 선수를 선호하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이번 겨울 이적시장에서 첼시로 이적한다면 로브렌의 가치는 크게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 피파온라인3 게임메카 나시라의 스카우팅

>> 피파온라인3 나시라의 스카우팅, 수비수는 왜 비쌀까?


※ 피파온라인3 게임메카 주요 기사

>> 호날두는 추락한 레알 마드리드를 구해낼 수 있을까?

>> 차세대 메시를 찾아라! 고효율 유망주 총정리

>> 피파2 vs 피파온라인3, 전설의 선수 능력치를 비교하다!

>> '금주의 골' 2편, 헛다리 개인기를 이용한 드리블 돌파

>> 피파온라인3 1월 첫째 주 추천 스쿼드, 5성 개인기 선수들로 팀을 꾸려보자!


: 게임메카 임현주 기자 (나시라, nashira@gamemeca.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플랫폼
온라인
장르
스포츠
제작사
EA코리아 스튜디오
게임소개
'피파 온라인 3'는 차세대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 향상된 전략플레이와 생생한 그래픽을 지원하며, 이를 통해 한층 사실적이고 생동감 넘치는 게임 플레이 경험을 제공할 예정이다. 전세계 40개 국가 대표팀과 30개 ... 자세히
게임잡지
2005년 3월호
2005년 2월호
2004년 12월호
2004년 11월호
2004년 10월호
게임일정
2025
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