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테마 > e스포츠

[스타2/GSTL] 팀리그 결승, 임요환 VS 임재덕 성사?

/ 1

yy-20110323-jungjh-in1.jpg

JSG_sc2_moon_0322_002.jpg
▲ 3킬 달성 공을 인정받아 오늘의 MVP로 선정된 정종현(상)과 문성원(하)

슬레이어스와 IM이 GSTL 우승컵을 가운데 두고 격돌한다!

3월 23일, 목동 곰TV 스튜디오에서 펼쳐진 GSTL 4강에서 IM과 슬레이어스가 각각 TSL과 스타테일을 누르고 결승에 진출했다.

최근 코드A로 강등되며 하락세를 보인 정종현은 GSTL을 통해 오랜만에 물오른 경기력을 과시했다. 특히 TSL의 두 프로토스 박진영과 신상호를 무러뜨리며 약점으로 지적받은 토스전을 어느 정도 극복한 모습을 선보였다. 여기에 TSL의 중견으로 등장한 김원기까지 무너뜨리며 총 3킬을 기록했다. 이번 시즌 GSTL에서 IM 강동훈 감독은 선봉으로 출전시킨 선수를 통해 반드시 3승 이상을 쓸어담는 날카로운 선발 능력을 검증받았다.

스코어를 3:0으로 리드하며 승리를 눈앞에 둔 정종현은 TSL의 마지막 선수, 서기수에게 무너지며 아깝게 올킬을 놓치고 말았다. 정종현의 2병영 바이오닉 압박에 파수기 다수를 잡히며 좋지 않은 출발을 보인 서기수는 불멸자를 필두로 테란의 진격을 저지한 뒤, 차근차근 추가 자원을 먹고 거신, 고위기사와 같은 고급 유닛을 추가하며 병력 조합을 단단하게 갖췄다. 여기에 불사조까지 대동시켜 핵심 화력인 거신을 저격하는 바이킹을 제압했다.

정종현을 덕아웃으로 내려보낸 서기수는 역올킬 달성을 위해 분전했으나, 바로 다음 상대인 황강호에게 덜미를 잡혀 씁쓸한 패배를 맛보고 말았다. 지난 8강에서 제넥스를 올킬한 황강호는 팀의 바람대로 마지막 1승을 깔끔하게 챙겨주며 팀의 결승 진출을 확정지었다. 두 차례나 저글링을 난입시켜 중후반 운영을 겨냥한 자원 축적에 집중하는 상대의 움직임을 모두 읽은 황강호는 화끈한 바퀴/저글링 러쉬로 프로토스의 제 2멀티와 본진을 궤멸시키며 승리했다.

바로 이어진 4강 2경기에서는 슬레이어스의 강력한 테란 라인, 문성원과 김동원이 번갈아 활약하며 강적 `스타테일`을 꺾어내는 파란을 연출했다. 박성준에게 선취승을 빼앗긴 상황에서 바로 출전한 팀의 에이스 문성원은 완벽한 완급조절과 범실을 유도하는 고도의 연기력으로 상대의 혼을 쏙 빼놓으며 3승을 휩쓸었다. 무리하지 않는 안정적인 운영과 빈틈을 파고 드는 날카로운 견제가 돋보였다.

문성원에게 연이어 패하며 탈락의 위기에 몰린 스타테일은 최지성을 마지막 선수로 내보내며 회생을 도모했다. 탈락을 눈앞에 둔 팀의 절박한 상황이 최지성의 플레이에 그대로 묻어났다. 패배가 거의 확실시 된 힘겨운 상황에서 최지성은 자신이 가지고 있던 단 하나의 카드, 방어를 포기하고 공격에 올인해 상대 생산 시설을 장악하는 전술을 멋지게 성공으로 이끌며 거짓말 같은 역전승을 기록했다.

하지만 슬레이어스 팀에는 문성원에 버금가는 실력을 지닌 탄탄한 신예 테란, 김동원이 버티고 있었다. 멀티태스킹 능력이 뛰어나기로 유명한 김동원은 은폐 벤시와 의료선 드랍을 병행하여 최지성이 제정신을 차릴 수 없을 정도로 흔들어줬다. 그 사이 자원 우위를 점한 김동원은 조급한 마음을 다스리지 못하고 밀고 들어온 상대의 병력을 잡아먹은 뒤, 바로 진출해 경기를 깔끔하게 끝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플랫폼
PC
장르
RTS
제작사
블리자드
게임소개
'스타크래프트 2: 자유의 날개'는 실시간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 '스타크래프트'의 정식 후속작으로, 게임에 등장하는 세 종족 중 '테란'의 이야기를 담은 패키지다.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이후 이야기를 담았... 자세히
게임잡지
2005년 3월호
2005년 2월호
2004년 12월호
2004년 11월호
2004년 10월호
게임일정
2025
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