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모바일

넥슨의 IP 파워, 2016년 모바일에서 터진다

/ 4

▲ 2016년 모바일 사업계획에 대해 설명 중인 넥슨 이상만 본부장(좌)와 노정환 본부장(우)


넥슨이 가진 강점 중 하나는 IP다. '던전앤파이터', '마비노기', '메이플스토리', '카트라이더' 등 넥슨의 대표 IP는 유저가 2차 창작물을 판매하는 야외행사를 따로 열 수 있을 정도로 대중적인 소재로 자리잡았다. 그리고 2016년, 넥슨은 이 'IP 파워'를 모바일게임에서 제대로 보여줄 계획이다.

넥슨은 12월 16일, 넥슨 아레나에서 '넥슨 모바일데이'를 열고 2015년 모바일게임 주요 성과를 발표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2016년 사업계획을 발표했다. 현장에는 넥슨 이정헌 부사장과 모바일사업본부 이상만 본부장과 노정환 본부장이 자리했다. 이상만 본부장은 해외를, 노정환 본부장은 국내 사업을 맡고 있다.

2015년 넥슨의 모바일게임 성과를 대표하는 작품은 '도미네이션즈'와 '히트' 두 가지로 압축된다. 우선 '도미네이션즈'의 경우 넥슨이 올해 출시한 모바일게임 중 가장 높은 해외 성과를 거뒀으며, 이를 바탕으로 구글과 애플이 운영하는 양대 오픈마켓에서 모두 '올해의 게임'으로 선정됐다. 이어서 '히트'는 넥슨이 처음으로 국내 양대마켓 매출 1위를 찍은 작품이다.




▲ '도미네이션즈(상)'과 '히트(하)' 대표 이미지 (사진제공: 넥슨)

레고와 파이널 판타지, 타이탄폴까지! 눈이 가는 신작 20종 이상

2016년 넥슨의 모바일게임 사업 중심에는 'IP'가 있다. '메이플스토리'나 '던전앤파이터'와 같이 넥슨이 가진 IP는 물론 '파이널 판타지'나 '레고', '테라', '카발', '삼국지조조전', '타이탄폴'까지 2015년 한 해동안 부지런히 확보해둔 IP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모바일게임 신작 다수를 선보일 예정이다. 이상만 본부장은 "정확한 수를 밝힐 수는 없지만 20여 종 이상을 준비 중이다"라고 밝혔다.


▲ 유명 IP를 기반으로 한 신작을 포함해 20종 이상의 모바일게임이 대기 중이다

앞서 말했으나 넥슨이 준비 중인 모바일게임 중에는 타사 IP도 많이 포함되어 있다. 다시 말해 질 높은 게임을 만들어 서비스하기 위해서는 좋은 IP를 찾아내고, IP 계약을 맺은 파트너사와 원활하게 소통할 수 있는 관계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넥슨이 2016년 모바일게임 사업 키워드 중 하나로 '파트너십'을 꼽은 것 역시 여기에 있다. 

노정환 본부장은 "모바일게임은 수명이 짧은 편이 많아서 적절한 투자와 퍼블리싱 능력이 중요하게 떠오른다. 파트너사와의 끊임 없는 소통을 통해 게임을 안정적으로 서비스하고, 새로운 게임을 발굴하기 위한 전략적인 투자가 중요하다"라고 강조했다.

그렇다면 반대로 넥슨이 자사 IP를 다른 회사와 계약을 맺고 제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할까? 그 대표적인 사례는 중국 개발사 킹넷이 웹젠과 IP 계약을 맺고 만들었던 '뮤 오리진'이 있다. 실제로 '뮤 오리진'이 중국은 물론 한국에서도 흥행에 오른 후 중국 개발사와 IP 계약을 맺고 개발을 맡기는 사례가 늘어나기도 했다.

이에 대해 넥슨은 자사 IP는 직접 개발을 맡고 싶다는 뜻을 보였다. IP에 대해 가장 잘 알고 있는 회사가 넥슨이기 때문에 게임을 만들 때도 IP를 최대한 살린 작품을 제작할 수 있다는 것이다. 

노정환 본부장은 '중국 개발사와 IP 계약을 맺고 개발을 맡기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냐'는 질문에 "사실 IP 사업에서 꼭 이래야 한다는 규정은 없지만 자사 IP로 게임을 만든다면 아무래도 내부에 게임에 대한 이해와 경험이 있는 제작진이 있는 퍼스트 파티와 완전히 외부에 있는 서브파티와의 간극이 존재하는 것은 사실이다. 그리고 중국은 그 간극이 좀 더 클 수 있다. 아직은 내부에서 직접 만들어서 제공하는게 의미가 있지 않나, 라고 생각한다"라고 밝혔다.


▲ 넥슨 모바일게임 국내사업을 총괄하고 있는 노정환 본부장

앞서 봤듯이 넥슨이 확보한 IP는 국적이 매우 다양하다. 일본에서 온 '파이널 판타지'나 '삼국지조조전'도 있지만 서양권에서 물건너온 '레고'나 '타이탄폴'도 존재한다. 다시 말해 IP만으로 국내는 물론 해외 유저를 혹하게 할 밑바탕을 가지고 있다. 여기에 넥슨은 조직개편을 통해 국내와 해외로 모바일사업본부를 나눴다. 조직을 두 개로 나누고 국내와 해외를 전담으로 맡겨 각 지역에 맞는 서비스와 운영, 마케팅을 보여주겠다는 것이 넥슨의 뜻이다.

노 본부장은 "조직을 해외와 국내로 분리한 이유는 각 지역에 맞는 전략을 가져가겠다는 것도 있다. 국내와 해외는 모바일 환경이 달라서 이전의 '글로벌 원빌드'가 더 이상 통하지 않으리라 본다"라며 "단적인 예로 마케팅만해도 한국은 기존 온라인게임과 비슷해지고 있는데, 해외에서는 전혀 다른 형태로 진행되고 있다. 국내와 해외에서 모두 좋은 성과를 거두려면 조직을 나눠 각 지역에 대한 전문성을 키워야 한다고 생각한다"라고 언급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게임잡지
2006년 8월호
2006년 7월호
2005년 8월호
2004년 10월호
2004년 4월호
게임일정
2025
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