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이하 콘진원)은 오는 28일 서울 광화문 CKL 기업지원센터에서 콘텐츠산업 정책연구 성과 세미나를 개최한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2022년 콘진원 콘텐츠산업정책연구센터에서 수행된 연구 성과를 살펴보고, 콘텐츠산업 현안과 관련한 주제 발표 및 토론을 진행한다.
콘진원은 2023년 조직 개편에서 기존 정책본부를 콘텐츠산업정책연구센터로 확대했고, 지난 3월 16일 센터는 국가 주요 통계를 조사 및 작성하는 통계작성지정기관으로 지정됐다.
세미나에서는 콘진원 콘텐츠산업정책연구센터 구성원 4인의 주제 발표가 진행된다. 우선 송진 센터장은 기조발제 '콘텐츠산업정책연구의 변화와 흐름: 한국콘텐츠진흥원 연구성과를 중심으로'를 통해 콘진원 주요 연구성과를 소개한다.
이어 산업정보팀 전창영 책임연구원의 한류 30년과 글로벌 트렌드, 미래정책팀 반옥숙 책임연구원의 콘텐츠 격차: 누구도 소외되지 않는 콘텐츠 정책지원, 산업정책팀 권구민 선임연구원의 콘텐츠산업의 생성형 AI 활용 이슈와 대응 과제 발제가 진행된다.
라운드테이블에는 상명대학교 이기현 교수가 진행자로 참여한다. 그 외 발제자 4인을 포함해 한국수출입은행 김윤지 수석연구원, 중앙SUNDAY 문소영 문화전문기자, CJ E&M 전략지원팀 박성현 부장,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이성민 교수, KDI 국제정책대학원 이태준 교수 등이 토론자로 참여한다.
라운드테이블을 통해 발제에 대한 논의와 콘텐츠산업 정책연구 지향점 등에 대해 토의한다. 콘진원은 세미나를 통해 수렴한 의견을 향후 연구 주제 및 현안보고서 발간에 반영한다.
콘진원은 작년에 게임, 방송, 음악, 만화/웹툰 등 다양한 콘텐츠 장르에 대한 연구보고서 44건을 발간했고, NFT, OTT, 한류 등 단기 현안 보고서 10건, 나아가 게임 및 방송 산업 트렌드 등을 담은 정기 간행물 3개를 냈다. 올해도 연구보고서 46건을 발간할 예정이며, 현안 세미나/포럼, 단기보고서 발간 등도 이어간다.
콘진원 송 진 콘텐츠산업정책연구센터장은 "이번 세미나를 계기로 콘진원의 연구 성과물을 콘텐츠 산업에 더욱 다양한 방식으로 알리고 환류할 예정이다"며 "향후 통계작성지정기관으로서 콘텐츠 산업의 정책 기틀을 마련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이번 세미나는 원하는 누구나 현장 참석할 수 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초심을 잃지 말자. 하나하나 꼼꼼하게.risell@gamemeca.com
- [순위분석] 민심 잃고 흔들, 회심의 한 방에도 하락한 로아
- 디아블로 4 핫픽스 패치, 원소술사와 도적 너프됐다
- [오늘의 스팀] 로스트아크 글로벌의 멈추지 않는 하락세
- 한정 아이템 포함, 버거킹 디아4 이나리우스·릴리트 와퍼 출시
- [매장탐방] "왕눈 주세요!" 닌텐도 매장 예상보다 더 북적
- [이구동성] 디아블로 4 패스트트랙 입장하실게요~
- 파라와 바티스트도 성소수자, 오버워치 2 단편 소설 공개
- [포토] 여기가 버거킹인가요? "디아블로 4 불지옥입니다"
- 최대 4인까지 동시 플레이, 테라리아 공식 보드게임 발표
- 2일 열리는 디아블로 4, Day 1 패치에 밸런스 조정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