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테마 > e스포츠

[스타2/GSL] 서기수와 한준, 16강 마지막 열차 탑승!

/ 1

et_gsl_110301_img_06.jpg

et_gsl_h_110301_img_07.jpg
▲ 코드 S 마지막 16강 티켓을 거머쥔 서기수(상)과 한준(하)

2011년 삼일절, 목동 곰TV 스튜디오에서 펼쳐진 GSL Mar. 코드 S 32강 마지막 경기에서 서기수와 이정환 그리고 김승철과 한준이 16강에 올랐다.

서기수는 이번 32강 F조 경기에서 가장 먼저 16강 진출을 확정지으며 탄탄한 실력을 과시했다. 1세트에 서 맞이한 이정환을 4차원 관문 러쉬로 깔끔하게 격파한 서기수는 바로 이어진 3세트의 상대 정민수까지 제압하며 일찌감치 2승을 거머쥐었다. 로봇 공학 시설 테크까지 진행된 3세트에서 서기수는 불멸자의 파괴력을 살리기 위해 일꾼 생산까지 자제하는 등, 한방공격에 최대한 화력을 집중한 시원스런 전술을 선보였다. 김원기와 서기수에게 연이어 패한 정민수는 조 최하위를 기록하며 이번 시즌을 마감했다.

서기수에게 첫 경기에서 일격을 맞은 이정환은 다음 상대인 김원기를 2연속 꺾으며 16강 진출권을 손에 넣었다. 초반에 불사조로 제공권을 장악해 저그의 성장을 최대한 억제시키는 전략적인 승부수로 첫 승을 기록한 이정환은 마지막 5경기에서 탄탄한 물량전 끝에 달콤한 승리를 맛보았다. 5세트에서 이정환은 화력의 중심인 `거신`을 잃지 않고 지키는 세밀한 전술과 상대의 병력이 부족한 타이밍을 정확하게 노리는 날카로운 판단력을 과시했다.

G조의 진출자는 서기수와 이정환, 프로토스 선수 2명으로 확정되었다. 반면 2세트에서 땅굴망을 활용한 기발한 전술로 좋은 출발을 보인 김원기는 이정환에게 2번이나 무릎을 꿇어 승격/강등전으로 내려갔다.

32강 마지막 조, H조의 16강행 첫 티켓의 주인공은 김승철로 결정되었다. 코드 A를 거치며 자신의 최대의 약점이었던 `무대 공포증`을 극복한 김승철은 송준혁과 이정훈을 찍어 누르며 2승 1패로 16강에 올랐다. 패배 가능성을 하나씩 줄여나가는 안전한 운영으로 두 선수를 잡은 김승철, 하지만 그에게는 더욱 일찍 상위 리그 진출을 확정지을 수 있는 기회가 있었다. 해병 압박으로 결정적인 승기를 잡았던 한준과의 4세트였다. 이 경기에서 김승철은 한 곳에 집중하지 못하는 애매한 운영으로 승리를 내주고 말았다.

이정훈에게 1패를 당하며 좋지 않은 출발을 보인 한준은 김승철과의 4세트에서 탈락 직전의 위기로까지 몰렸다. 극도로 불리했던 경기를 뒤집어 내며 첫 승을 기록한 한준은 마지막 6세트에서 `인카`  송준혁까지 제압하며 16강행 마지막 열차에 몸을 실었다. 송준혁의 거센 저항에 한준은 역전 상황에까지 몰렸으나, 저그의 장점 중 하나인 발빠른 체제 전환에서 오는 이점을 최대한 살려 승리를 확정지었다. 6세트에서 한준은 송준혁의 멀티 시도를 진화장을 건설해 최대한 견제하는 기발한 전술을 선보여 이목을 집중시켰다.

총 4일간에 거쳐 진행된 코드 S 32강 전 끝에 GSL Mar.의 16강 대진표가 완성되었다. 이번 시즌에도 테란은 총 7명의 진출자를 배출하며 여전한 강세를 과시했다. 신맵 추가로 많은 이득을 본 프로토스 역시 5명의 선수를 16강으로 올려보내는 성과를 거두었다. 총 진출자 4명으로 가장 성적이 초라한 저그 진영, 하지만 선수들 면면을 유심히 살펴보면 그 기세가 만만치 않다. 앞으로 진행될 16강 형세가 어떠한 방향으로 흐를 지 귀추가 주목된다.

GSL Mar. 16강 대진표

장민철(P) VS 변현우(T), 조나단 월시(T) VS 안홍욱(P)
박성준(Z) VS 한규종(T), 이형주(Z) VS 이윤열(T)
강초원(P) VS 박상익(Z), 서기수(P) VS 김승철(T)
김상철(T) VS 박준(T), 이정환(P) VS 한준(Z)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플랫폼
PC
장르
RTS
제작사
블리자드
게임소개
'스타크래프트 2: 자유의 날개'는 실시간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 '스타크래프트'의 정식 후속작으로, 게임에 등장하는 세 종족 중 '테란'의 이야기를 담은 패키지다.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이후 이야기를 담았... 자세히
만평동산
2018~2020
2015~2017
2011~2014
2006~2010
게임일정
2025
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