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메카 / 제휴처 통합 36,120 View
게임메카 내부 클릭수에 게임메카 뉴스를 송고 받는 제휴처 노출수를 더한 값입니다.
SNS 통합 5,700 View
게임메카 트위터(@game_meca)와 페이스북(@게임메카)의 노출수를 더한 값입니다.


최근 출시된 기대작 상당수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문제가 있습니다. 바로 최적화입니다. 특히 PC버전에서 문제가 도드라졌습니다. 작년 12월 출시된 칼리스토 프로토콜부터, 몬스터 헌터의 라이벌로 각광 받던 와일드 하츠, AAA급 오픈월드 대작으로 평가되던 포스포큰, 그리고 바로 오늘 출시된 와룡 폴른 다이너스티까지. 하나 같이 출시 전 기대를 크게 모았던 작품들이었는데, 최적화에 발목이 걸려 넘어지고 말았습니다.
미흡한 최적화를 선보인 이유는 개발사마다 다를 것이지만, 위 게임 모두 PC보다는 콘솔 위주로 개발을 진행한 것으로 보인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처음부터 콘솔에 초점을 맞춰 개발을 거의 완료한 후, 출시를 앞두고 PC로 옮기는 과정에서 여러 문제가 발생한 것이 아니냐는 추측이죠. 실제로 위 게임 대부분이 콘솔 버전에서는 멀쩡히 잘 구동됐다는 것을 감안하면 더욱 의심이 갑니다. 실제로 와일드 하츠와 포스포큰, 와룡의 경우 콘솔 강국인 일본 회사 작품이며, 칼리스토 프로토콜 개발자인 글렌 스코필드의 전작 데드 스페이스도 콘솔에 더 중점을 뒀던 전례가 있습니다.
이중에는 최적화를 빼면 게임성은 오히려 좋은 게임도 있다 보니, 게이머들의 아쉬움도 유독 큽니다. 게임메카 ID 드림캐스트 님 "유저들이 기대를 많이 한 작품인데, 출시부터 최적화 문제가 있어 안타깝네요.", 게임메카 ID meath 님 "발매전 최적화를 위한 테스트시간을 충분히 고려하고 유저들의 플레이에 지장이 없도록 배려할 필요가 있다고 느껴집니다", 게임메카 ID 너무심심해 님 "그래픽이 좋고 게임이 재밌어도 최적화가 문제면 게임을 플레이 할 수가 없죠. 이런 게임이 많아서 아쉽긴 하네요" 같은 의견들이 이를 대변합니다.
최적화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부족하지 않습니다. 잘 만든 게임이더라도 뚝뚝 끊기거나 오류가 나고 구동이 되지 않는 등의 문제가 생기면 손도 대기 싫어지니까요. 위 게임들의 사례를 양분 삼아, 올해 남은 기대작들은 최적화 문제로 혹평을 받는 경우가 더 이상 나오지 않기를 바라 봅니다.

[이구동성]에 인용된 유저댓글 중 매주 한 분(게임메카 계정)씩을 추첨해 제우미디어의 게임소설(리퍼 서적)을 보내드립니다. 선정된 유저분은 회원정보에 기재된 e메일로 발송되는 당첨 안내 메일로 주소 및 연락처를 알려주시길 바랍니다.
이번 주 우수 댓글: 드림캐스트 님 (증정서적: 디아블로 3 케인의 기록)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게임메카 취재팀장을 맡고 있습니다jong31@gamemeca.com
에 달린 기사 '댓글 개' 입니다.
- 미연시 게임 했을 뿐인데, 어려운 소득세 신고서가 완성?
- 유저를 가장 많이 죽인 보스는 말레니아, 엘든 링 1주년 통계
- 심즈 개발자의 인생시뮬 신작 '라이프 바이 유' 9월 출시된다
- 포지션과 챔피언 미리 고른다, 롤 ‘빠른 플레이’ 테스트
- 디아블로 4 개발진 “야만용사 약하다고? 후반에 강해진다”
- 서든어택, 이제 핵 쓰면 경고 없이 바로 영구 정지시킨다
- 10년 간의 추억 안녕, 윈드러너 서비스 종료한다
- 프로젝트 유출 소송 중인 다크 앤 다커, 스팀서 삭제됐다
- 블루 아카이브·쿠키런: 킹덤 中 판호 발급, 국내 게임주 상승
- 디아블로 4가 3랑 똑같은 분위기라고? 직접 확인해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