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6개의 뉴스가 있습니다.
  • 종종 AI의 답변을 듣다 보면 사람이 아니라는 점이 확 느껴질 때가 있다. 환경 문제에 대해 토론하다 "인간은 지구의 하수구"라며 폭언을 퍼붓거나, 자신의 존재 이유에 대해 섬뜩하고 부정적인 질문을 던지기도 한다. 이런 장면들을 보면 겉으로는 웃고 상냥하게 행동하지만, 뒤로는 인간을 깔보는 등 소름 돋는 속마음을 가진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에 소름이 돋을 때가 있다. 이런 '속 검은 AI'는 게임 속에서도 자주 등장하는 단골 캐릭터다
    2025.08.21 15:48
  • 최근, 정통 육성 시뮬레이션이 다시금 인기를 얻고 있다. '프린세스 메이커' 본가까지 신작을 발표하며 제2의 붐을 이끌고 있다. 전통적인 육성 시뮬레이션의 틀을 유지하며 호평받는 게임들이 늘면서, '프메류'라 불리는 게임들의 제 2 전성기가 오고 있다. 오늘은 출시를 앞두고 기대감을 높이고 있는 프메류 게임들을 모아봤다
    2025.08.14 16:17
  • 어렸을 때 봤던 만화 속 '최종 보스 변신' 클리셰를 기억하는가? 주인공에게 신나게 얻어맞던 악당이 갑자기 거대한 몬스터로 변신하면, 우리는 직감적으로 알 수 있었다. 변신한 보스가 아무리 강해 보여도, 결국 주인공의 필살기 한 방에 무너지고 만화가 끝날 것이라는 사실을 말이다. 어찌 보면 변신 장면은 '아, 이제 만화가 끝날 때가 됐구나!' 라고 느끼게 해 주는 트리거였다
    2025.08.07 16:04
  • 요즘 진짜 살인적으로 덥다. 페니와이즈의 명언(?)인 "이러다 사람이 죽는다고!" 가 현실로 다가오는 날씨다. 지구가 열탕소독 중인 와중에, 우리가 눈치 없이 살아서 불평하고 있는게 아닌가 싶은 생각까지 들 정도다. 럴 때일수록 게임 속 시원한 기술들을 떠올려 보자. 이 지옥 같은 더위만 없앨 수 있다면 뭐든지 꺼내오리라
    2025.07.31 10:00
  • 오늘은 스팀에서 가장 긴 이름을 가진 게임 10개를 한 자리에 모아 보았다. 조사는 18만 4,000개가 넘는 스팀의 모든 게임을 고물 컴퓨터로 5시간에 걸쳐 불러온 후 리스트화 하는 노가다 작업을 거쳤으니, 지금 시점에선 '아마도' 정확할 것이다... DLC를 포함할지 말지 고민이 많았는데, DLC 역시 게임이라는 전제 하에 목록에 넣었다는 점 알려드린다
    2025.07.24 15:30
  • "SNS는 인생의 낭비다" 현대 사회가 낳은 속담과도 같은 유명한 말이다.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퍼거슨 감독이 한 것으로 알려진 명언인데, 진짜 의미와는 상관없이 인터넷 밈으로 자리 잡았다. 보통 누군가가 SNS에서 불필요한 논란을 일으키거나, 쓸데없이 입을 놀려서 개인, 회사, 제품에 해를 끼칠 때마다 튀어나오곤 한다. 게임계에도 SNS가 화를 불러오는 사례가 은근히 많다
    2025.07.17 16:32
  • 요즘 날씨가 매우 덥다. 서울 기준으로 낮 최고 기온이 37도를 넘겼고, 파주는 40도를 찍었다고. 기자 역시 외부 취재를 나갈 때마다 건물 입구에서부터 숨이 탁탁 막힌다. 아무튼 이럴 때마다 소외받는 게임 속 이웃들이 있다. 보기만 해도 뜨거운 이들. 이럴 때일수록 이들에게 따뜻한 관심과 포옹을 줘야 한다
    2025.07.10 15:56
  • '이탈리안 브레인롯'이란 밈이 올해 초부터 인터넷을 달구고 있다. 비록 요즘들어 인기는 좀 식었지만, 상반기 내내 국경을 넘나들며 SNS와 숏폼을 휩쓴 만큼 관련 게임도 쏟아졌다. 주로 로블록스, 마인크래프트, 포트나이트 모드로 나왔는데, 스팀 단독 게임도 다수 등장했다. 밈 기반 인디게임들이 늘 그렇듯 급조된 티가 나고 품질도 조악한 경우가 많지만, 그중에도 나름 긍정적 평가를 받은 게임들이 있다
    2025.07.03 09:30
  • 노이즈 마케팅이란, 자극적인 소재로 대중의 시선을 확 잡아끄는 기법이다. 부정적이거나 놀랄 만한 이슈를 내세워 일단 주목을 받고, 그렇게 모인 이목을 본래 광고 대상으로 돌리는 식이다. 여기서 중요한 건 '이목을 돌리는' 부분이다. 노이즈만 내세우고 정작 본래 광고 대상으로 이목을 돌리지 못한다면 욕만 먹고 광고 대상의 이미지까지 해친다. 그야말로 양날의 검이기에, 실패 사례도 꽤 된다
    2025.06.26 16:56
  • 살다 보면, 자꾸 이름을 잘못 부르게 되는 사람들이 있다. 연예인으로 예를 들면 정소민-전소민-전소미, 장진영-정진영-정재영같이 이름이 비슷한 사람이 존재하거나, 전 축구선수인 황보관처럼 어디까지가 성이고 어디부터 이름인지 헷갈리는 경우도 있다. 외자 이름인 경우 성이 따로 있고 이름만 부른 것으로 착각하기도 한다
    2025.06.19 11:32
  • 오늘도 수많은 게임들이 각축을 벌이는 스팀에서는 실시간으로 게임들의 성적표를 공개한다. 그 중 500개 넘는 평가를 받고 '긍정적' 비율이 95%를 넘어서면, '압도적으로 긍정적'이라는 칭호를 얻을 수 있다. 그런데 이 '압긍'조차 모자라 99% 긍정적 평가를 자랑하는, 그야말로 '천상계' 게임들이 있다. 그중에 무려 '무료' 게임들이 끼어 있다는 점은 그야말로 놀라울 따름이다
    2025.06.12 15:58
  • 아무리 게임이라고 해도 상식이란 게 존재한다. 한낱 생명체의 몸으로 반경 수백 미터를 증발시키는 엄청난 폭발에 휘말리거나 섭씨 1,000도가 넘는 용암 속으로 떨어진다면, 당연히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 그러나 이 규칙을 비웃으며 되살아나는 캐릭터들이 있다. 분명히 죽었어야 할 상황에서도 조금 후 마치 아무 일 없었다는 듯 멀쩡히 살아 돌아오는 이들 말이다
    2025.06.05 16:59
  • 대선 기간. 개인적인 정치색을 드러낸 게임 캐릭터들이 화제다. 평소 복장과 다른 스킨을 입고 사진을 찍었는데, 거기서 자신이 응원하는 후보나 정당 번호를 은근슬쩍 내비친 이들 말이다. 인기게임 1위인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들 가운데 특히 많다. 이 시국에 정치색을 은근슬쩍 드러낸 롤 챔피언들의 사진을 한데 모아 보았다
    2025.05.29 15:00
  • 게임의 주인공은 영화나 소설, 만화 주인공과는 조금 다르다. 게이머는 주인공을 단순히 관찰하는 것이 아니라, 그와 시선을 함께 하고 직접 조작하며 모험을 함께 해 나가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부분 게임에서는 전작 주인공들에 대해 일정 수준의 예우를 해 주는 경우가 많다. 플레이어와 생사고락을 함께 한 캐릭터이기에, 그의 운명이 어찌 됐건 간에 등장 신에서는 어느 정도 예의를 지켜 주는 것은 게이머에 대한 존중이기도 하다
    2025.05.22 10:00
  • RPG나 액션게임 속 직업들은 대체로 정형화된 틀에 박혀 있다. 전사, 마법사, 성직자 같은 클래식한 직업은 어느 게임에서건 반복적으로 등장하며, 가끔 독특한 변주로 등장하는 드루이드나 음유시인, 연금술사, 상인, 화가 역시 슬슬 고착화되어 가고 있다. 아무래도 RPG나 액션 장르의 특성 상 전투 중심이다 보니 여기에 얽매일 수밖에 없다. 비슷한 직업들이 판을 치는 세상이다 보니, 직업 소개만 봐도 익숙함을 넘어 지루한 감정까지 들 정도다
    2025.05.15 17:36
만평동산
2018~2020
2015~2017
2011~2014
2006~2010
게임일정
2025
08